왜 사람들은 명품을 살까? - 베블런이 들려주는 과시 소비 이야기 경제학자가 들려주는 경제이야기 15
김현주 지음, 윤병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으로도 호기심을 끌어당기는 도서이다. 

명품이라는 것만으로도 사람들은 호기심을 가지고 있는데,

그만큼 요즘 사람들에게 명품은 갖고 싶은 물건 중에 하나이며 부자가 아니더라도 '하나쯤은 가지고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명품의 바람 덕분인지 아이들도 소위 잘나가는 *스페이스 제품을 찾는것이 일상이 되어 버렸다.

그만큼 남들 앞에서 내가 잘나간다는 과시욕을 보여주고 싶다는 얘기인데

이 책에서는 사람들이 왜 명품을 사는지를 통해 베블런의 경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경제란 딱딱하고 재미없는 분야로 관심없는 사람들에게는 한없이 어려운 부분이다.

특히 초등생이나 청소년들이 경제를 처음 접할 때 쉽게 접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한데 명품을 소재로 정해 경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간다는 것이 마음에 들었다.

 

 

 

 

 

누구나 갖고 싶어하는 *스페이스 잠바, *이뷔통 핸드백, *MW 자동차는 비싼 제품으로 인정을 받곤 하는데

그 상품들의 공통점은 품질이 우수해서 비싼 것이 아니라 '비싸기 때문에 가치를 인정받는다'는 것이다.

모파상의 <목걸이>의 주인공 마틸드를 보면, 무도회에 가기 위해 부자 친구한테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빌렸다가

목걸이를 잃어버려 전 재산을 털고 고리대금 빚까지 내어 그 목걸이를 사서 주게 되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목걸이가 모조품이었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마틸드가 그 목걸이를 하고 갔을 때 아무도 가짜인걸 몰랐다는 것과

스스로도 진짜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사람들 앞에서 더 자신감이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부러움을 사기 위해 과시 소비를 하게 되는데,

똑같은 제품을 놓고 값만 비싸게 매긴 제품이 훨씬 더 좋은 제품이라는 생각을 한다는 것이다.

 

 

 

 

 

중세 귀족들의 연회는 고대 로마 시대의 연회를 모방한 것인데,

유한계급의 축제나 연회는 오락과 여흥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열렸지만 더 큰 목적은 자신의 넘치는 부를 과시하기 위함이었다.

여성이 과시 소비의 주범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여성이 이런 과시 소비를 하는 이유는 유한계급 남성의 대리 소비자가 되었을 뿐이다.

쉽게 말해서 남편의 능력을 아내를 통해 과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상류층 사람들뿐만이 아니라 중류층과 하류층도 상류층을 따라가다 보니 빚을 내서라도 겉치레에 신경을 쓰게 된다는 것이다.

명품이 자신을 위한 만족감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이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서는 과시 소비를 시작으로 경제의 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를 통해 보여주고 있어 어려운 경제를 쉽게 알아갈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유한계급과 과시 소비의 주체인 소비자,

기업의 이익이 사회의 이익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독과점시장으로 인해 완전경쟁시장이 이루어질 수 없는 이유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초등생이 보기에는 어려운 용어들이 약간씩 등장하지만 옆 부분에 주석이 있어 쉽게 경제를 접해볼 수 있다.

이 책과 함께라면 신문 경제면에 나온 소비에 대한 부분을 보면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든다.

베런이 들려주는 과시 소비 이야기를 통해서 경제이야기를 시간 가는줄 모르고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