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탐구 과학전람회 탐구토론대회 발명품대회 - 즐깨감 과학대회 도전하기 와이즈만 영재학습법
변문경 지음, 김송현 부록 글, 김석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해마다 과학의 날이 되면 학교마다 다양한 과학 행사가 열리는데 이런 행사에 참여해 보는 것도 괜찮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과학의 날 가장 많이 하는게 과학 상자인데, 나도 한때는 우리 아이가 로봇 과학을 한다고 해서 과학상자를 준비해 주었지만

언제부턴가 조금씩 시들해지면서 한쪽 구석에 과학 상자가 그냥 놓여져 있다.

사다 놓고 별로 사용하지 않아 조금 아쉽기도 하다.

 

 

 

 

과학의 날을 기념으로 열리는 과학 행사는 아이들에게 과학을 더 깊이 생각하고, 흥미를 가지게 해주는 좋은 행사라고 생각한다.

관심 없는 아이들이야 크게 생각이 없지만 참여해 보는 것만으로도 의의가 있는 것 같다.

생각하는 과학의 힘은 작은 것부터 시작하는 거니까...

요번에 큰아이는 중학교에서 공기 대포 쏘기를 해서 동상을 받았고, 작은 아이는 물로켓 쏘기에 참여했었다.

처음으로 물로켓 쏘기에 참여했던 작은 아이는 요령이 없었던지라 물로켓으로 홈런을 날렸다고 한다. ㅎㅎㅎ~~~

우리의 생활이 이렇게나 많이 발전하고 편리하게 해준 것의 원동력이 바로 과학의 힘이 아닐까 싶다.

예전에 비해 맞벌이가 늘어나면서 주부들이 하는 일들을 좀 더 쉽고 편리하게 하는 과학적인 도구들이 많이 등장하면서 주부들이 편해지긴 했다.

가끔은 나도 편리해진 생활을 보면서 과학의 힘에 감사함을 느낀다.

 

 

 

 

와이즈만 북스에서 출간된 <자유탐구 과학전람회 탐구토론 대회 발명품 대회>는 과학에 관심 있는 아이들에게는 딱 맞는 도서이다.

작은 호기심으로 시작한 것들을 가지고 생활에 적용을 해보고 탐구토론대회나 발명품대회에 도전해 볼 수가 있다.

자유탐구와 과학전람회는 스스로 흥미로운 영역의 주제를 정해서 자료를 조사하고 실험하면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쉽게 말해서 자유탐구라고 할 수 있는데 자신이 관찰한 것들을 단순히 관찰일지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조금 더 유용한 쪽으로 생각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자신이 연구한 탐구 사례를 발표하면서 과학전람회에 작품으로 출품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탐구 토론 대회는 토론을 통해서 의사 교환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팀별로 참여하고 함께 토론한다.

보고서를 발표하고 반론을 제기할 수도 있는데 서로간의 의견 공유와 이상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대회의 취지인다.

발표 -> 반론 -> 평론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이런 기회를 통해서 아이들은 풍부한 지식을 얻을 수 있고, 잘해서 상도 받고, 개인적인 산출물도 생긴다. 그러면서 자신의 능력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고, 성취감까지 얻을 수 있다. 함께 팀별로 산출물을 얻었어도 자신이 준비하면서 전 과정에서 느낀 점과 깨달은 점 등을 에세이로 써두면 자신만의 포트폴리오 자료가 된다. 초·중·고등학생 모두 참석 가능하고 중학교 이후부터는 전국 대회 동상 이상 수상자는 ISEF와 같은 국제 대회 대표 선발전에도 출전 자격이 부여되는 특전도 있다.

 

 

 

 

발명이란 것이 어렵고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은 사소한 것에서 시작한다.

특별한 것을 만들기 보다는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불편한 점을 찾는 것에서 시작하면 된다.

그것이 씨앗이 되어 창의적인 물건이 만들어지는 것이 바로 발명이다.

우리가 잘 몰라서 그렇지 주변에 존재하는 것들 중에 이렇게 시작된 물건들이 엄청 많을 것이다.

사실 일상을 편리하게 해 주는 많은 아이디어들은 자연에서 왔다.

도꼬마리 씨앗을 보고 벨크로를 발명했고, 단풍나무 씨앗이 뱅그르르 도는 것을 보고 헬리콥터를 설계했다.

고래의 움직임을 모방해서 잠수함을 만들었고, 새의 움직임에서 비행의 아이디어를 얻었다.

어렵다고 생각하고 아무도 생각하지 못했으면 지금 이렇게 과학이 발전할 수 있었을까?

지금부터라도 관심을 갖고 생활에서 불편한 점을 찾다보면 그게 바로 발명이 될 수 있다.

요즘 아이들은 머리도 비상하고 책도 많이 읽으니 얼마나 더 멋진 과학 발명품들이 나올지 기대된다.

과학에 관심이 많아 이런 대회에 출전하고 싶은 아이들에게 정말 유용한 도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