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을 건너는 아이들
코번 애디슨 지음, 이영아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전 세계적으로 인신매매에 의해 거래되는 사람들 2,700만명, 인도의 아동 성노예 120만명.

예전엔 노예제도가 있었지만 지금도 사람을 돈으로 사고 파는 이런 세상 너무 암울하다.

내가 사고 싶은 물건을 돈을 주고 사기도 하지만, 사람은 물건이 아님에도 자신의 소유물인양 돈으로 거래되어 여기에서 저기로 팔려나가는 현실이 너무 가슴 아프다.

그들이 어쩌다가 돈에 의해 팔려나가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무시당하고 학대당하면서 살고 있는 그런 현실들이 안타까웠다.

분명한건 인신매매에 행해지는 사람들은 자신이 그런 삶을 원하지 않았을텐데 말이다.

여기에 나오는 아할리아와 시타 자매들도 자신이 원하지 않았지만 인신매매의 주인공이 되어 여기저기 팔려가게 된다.

그 속에서 두 자매는 살기 위해 몸부림치며 점점 더 강인해진다.

 

인도에서 상류층 생활을 하고 있는 아할리아와 시타는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쓰나미에 부모님을 잃게 된다.

아할리아는 바닷가에서 놀다가 전날 강진이 일어나는 상황을 눈 앞에서 보긴 했지만 별거 아닐거라고 생각했는데 강진이 몰고 온 여파는 굉장히 컸다. 강진으로 거대한 쓰나미가 덮치고, 그들이 살고 있는 집을 비롯하여 모든 것을 한순간에 앗아가 버렸다.

할머니와 아빠, 엄마, 가정부까지 쓰나미에 모두 죽게 되고 두 자매만 살아남게 된다.

모든 것을 잃어버린 자매는 가까스로 수녀님께 도움을 요청한다.

꼭 믿을 만한 사람과 함께 오라는 수녀님의 말을 듣고 아할리아는 동생과 함께 수녀원에 가려고 트럭을 얻어타게 되지만 그것이 그들의 운명을 바꿔 놓을 줄은 꿈에도 몰랐다. 쓰나미로 인도가 덮쳐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있고, 모두가 힘든 상황이지만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 오히려 이런 기회를 이용해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들이 야속하기만 하다. 

아할리아와 시타는 뭄바이 매음굴 포주에게 팔려가게 되고, 그곳에서 생활하게 된다.

아할리아는 자신이 힘든 상황 속에서도 동생을 지켜주려고 하고, 강인한 모습을 보여준다.

시타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며 동생의 마음을 위로해주기도 한다.

어느 날 시타는 한 남자와의 거래에 의해 프랑스로 마약을 운반하는 역할을 맡게 되면서 언니와 헤어지게 된다.

시타가 없어진 시점에 매음굴을 덮친 경찰에 의해 언니는 무사히 구출되지만 시타는 여기저기 옮겨 다니면서 노예처럼 생활하게 된다.

 

잘나가는 변호사인 토마스는 아내와 결별하고 있는 가운데, 회사에서 상사의 잘못을 뒤집에 쓰게 된다.

그는 아내가 있는 인도 뭄바이에 국제 반인신매매 비영리단체인 CASE에 지원한다.

그는 인신매매에 대해서 별 관심이 없었지만 자신의 눈앞에서 사라진 애비와 그 아이의 엄마의 모습을 보며 그 일에 조금씩 관심을 갖게 된다.

인도에 간 그는 매음굴에서 구출된 아할리아를 만나게 되고, 그녀의 부탁으로 시타를 찾기 위한 추격전이 시작된다.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아할리아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신경을 곤두세운다.

시타는 힘든 생활을 하며 자살을 생각하기도 하지만 매음굴에 잡혀있는 언니를 생각하면서 온갖 모욕을 참아내고 더 강인해진다.

토마스가 시타를 찾게 되면 그것을 알아챈 그들은 시타는 벌써 다른 곳으로 이동해 놓았고, 결국 시타는 지구를 반바퀴나 돌면서 자신도 모르는 곳으로 옮겨진다.

 

예전에 한때 우리 나라에도 인신매매가 유행하고 있어서 밖에 나가기가 무서웠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많이 줄어들었다고 생각하지만, 지금도 부산이나 이런 곳에서는 중국으로 사람들이 팔려간다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

사람들이 돈으로 사고 팔리는 무서운 세상 속에서 알아도 되지 않아야 할 부분들을 너무나 많이 알게 되었다.

책에서 보여지는 부분들이 소설이라고 해도 끔찍한데 이런 것들이 전부 다 현실이라고 하니 더 기가 막혔다.

그들을 가둬놓고 자기들끼리 사고 팔면서 성매매 현장과 인신매매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부분은 참혹하기까지 했다.

알게 모르게 이런 일들이 비일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그들은 인신매매를 단지 하나의 사업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었다.

그래도 이책에서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다.

아할리아는 수녀원에서 자신이 심은 푸른 연꽃이 피어나길 기다리면서 무사히 동생이 돌아오길 기다린다.

마지막에 전해지는 감동의 메시지는 그동안의 모든 고통을 잊을만큼 강렬하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