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가 알아야 할 세계명화 13 그림이 좋아지는 그림책 2
앙겔라 벤첼 지음, 이선희 옮김 / 터치아트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가끔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가보면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실감이 난다.

혹시라도 책에서 봤거나 다른 곳에서 봤으면 더 유심히 보게 되고 관찰하게 된다.

아이들은 혹시라도 자신이 아는 것들이 나오면 설명을 좔좔좔~~~

역시 아는 만큼 보이는 것...

  

그래서 아이들에게 책이 중요한데,

요번에 만난 도서는 그림이 좋아지는 그림책이다.

<어린이가 알아야 할 세계 명화 13> 에서는

다양한 열세 가지 작품의 명화들을 감상할 수가 있다.

오랜 세월이 흘러도 인정받는 유명한 예술 작품들인데,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유명한 작품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었지만 솔직히 내가 모르는 작품들도 있었다.

 

 

 

 

 

그림에 대한 설명과 함께 그림을 그릴 당시 연표가 나와 있고,

화가나 작품과 관련이 있는 인터넷 주소와 더 읽어보면 좋을 책도 소개되어 있다.

앞장에는 큰 그림이 있고,

뒷 부분에는 작은 부분을 클로즈업하여 보여주어 그림을 더 자세히 볼 수 있었다.

그림을 보면서 의문점이 드는 부분들에 대한 설명을 넣어주어

그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은 국민서관의 <거기 얀이 있었어요>라는 책을 통해 미리 보아왔던 작품인데,

거기서는 강아지를 다른 강아지로 바꾸어 놓아 틀린 부분 찾기를 했었던 것이 기억이 난다.

그림 밑부분이 어둡기 때문에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었던 부분이었지만

바뀐 부분을 통해 그 자리에 강아지가 있다는게 잊혀지지 않았다.

작품에 등장한 강아지가 별 의미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바로 여인의 정절을 의미한다고 한다.

벽에 붙어 있는 거울에 부부의 모습 들어있는데

볼록거울을 통해 보여주어 실내공간을 더 많이 비춰주는 부분까지 자세히 볼 수 있었다.

 

 

 

 

 알브레히트 뒤러의 작품인 <산토끼>는 정말 살아있는 토끼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 작품은 다른 화가들도 수없이 베껴 그릴 만큼 완벽한 그림인데

토끼 털 묘사와 토끼 눈에 비친 창틀까지 어쩜 그렇게 실감나게 그렸는지 감탄이 나온다.

요번에 산토끼 그림을 통해 알게 된 알브레히트 뒤러의 작품을 몇가지 더 볼 수 있었는데

작품들이 하나같이 실제 모습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빈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고흐의 그림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이 그림을 소재로 시가 발표되기도 했고,

그림이 제목이 노래 가사에 실리기도 했다.

이 작품은 물감을 두껍게 칠해 입체감이나 강한 질감이 나도록 표현한

임파스토 기법이 사용되었다.

 

 

 

 

어린이가 알아야 할 명화들을 이렇게 책 한권에 담아서 보여주니

미술관에 다녀온 듯한 느낌이 들었고,

책 안에서 보여지는 부연 설명들은 그림에 대한 상식을 넓히기에도 충분했다.

그림에 대한 풍부한 상식과 시대적 배경, 사용 기법 등

작품에 대해서 많은 걸 알 수 있는 책이었다.

 

열 세 작품 밖에 들어있지 않아서 조금 아쉬운 감이 들었지만

미술관에 가지 않고 이렇게 훌륭한 작품들을

열세 가지나 만나볼 수 있어서 참 유용한 도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