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소가 좋아 - 채소 ㅣ 맛있는 밥상 시리즈 6
백명식 글.그림 / 소담주니어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웰빙이 떠오르기 시작하면서 식탁에 여기저기 채소가 많이 등장한다.
고기를 못먹던 시절 때문인지 고깃집은 식당마다 만원이고, 아이들도 고기를 좋아해 집집마다 식탁에는 고기 반찬이 가득하기만 하다.
아이들도 고기를 좋아하다보니 햄을 비롯하여 고기 반찬이 얼마나 많이 나오는지 알수가 없다.
하지만, 고기를 많이 먹는 식습관으로 인해 많은 병이 생기고, 건강을 생각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언제부터인가 채소가 주요 식단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몸에는 좋다지만 채소의 독특한 맛과 채소의 아삭아삭한 씹는 맛을 싫어하는 아이들에게 채소를 먹이기는 쉽지 않다.
기껏해야 요리에 혼합해서 넣어주는 정도 밖에는...
그것도 골라내지 않고 먹어주면 감사할 따름이다.

소담주니어에서 출간된 <채소가 좋아> 도서를 통해서 많은 채소들을 만나볼 수 있었는데, 소위 요리를 한다는 주부이면서도 듣도 보도 못한 채소를 비롯하여 다양한 채소들을 만나볼 수 있었다.
요즘은 베란다 텃밭을 만들어 채소를 직접 키우는 집들도 제법 있는데 부러우면서도 잘 키울 자신이 없기에 주저하고 있다.
책에 등장하는 아이도 베란다에 채소를 심기로 하면서 채소를 키우면서 채소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된다.
잎을 먹는 잎채소, 열매채소, 뿌리채소 등 다양한 채소들을 만나게 되고, 채소에 대한 풍부한 상식을 덤으로 얻을 수 있다.


김밥을 쌀 때 꼭 들어가는 시금치는 가을에 씨를 뿌려 겨울이나 봄에 먹게 되는데 시금치는 날씨가 따뜻하면 잘 자라지 못하기 때문이다.
어떤 채소와도 잘 어울리고 아삭아삭 씹히는 맛이 일품인 오이는 빨리 자라기 때문에 물과 비료가 많이 필요하다.
비타민 C가 시금치의 5배나 들어있지만, 특이한 냄새 때문에 아이들은 싫어하지만 건강을 위해서 많이 찾는 채소가 파프리카이다.
길쭉한 우엉은 땅속 물을 찾아 아래로 뻗기 때문에 다른 채소보다 뿌리가 아주 튼튼하고,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있어 장을 청소하는데 딱 맞는 채소이다.


외할머니댁에 놀러 간 아이는 할머니와 나물을 캐러 뒷산에 간다.
상큼한 나물 향이 가득한 뒷산에서 다양한 종류의 나물을 보게 되는데, 이렇게나 많은 종류의 나물이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계절별로 나오는 나물 뿐만 아니라 생강나무나 고추나무, 두릅나무, 엄나무, 닥나무 등 나뭇잎을 먹는 것들도 알 수 있다.
그러고 보니 자연에서 나는 것들은 모두가 사람들에게 선물이다.
사람들은 자연에서 뿐만 아니라 인공적으로 만든 음식들을 먹고 살지만, 동물들은 자연에서 나는 것으로만 먹고 살아가는 걸 보면 자연은 참 귀중한 보물이다. 아이들이 이 책을 보면서 자연의 고마움을 느끼고, 인스턴트 식품 대신 자연에서 나온 것들로 밥상을 차려달라고 했으면 좋겠다.
자연에서 나온 음식들을 먹고 더 건강하고 튼튼해진 모습이 되기를 바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