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열 살이 넘으면 하지 말아야 할 말 해야 할 말
앤서니 울프 지음, 곽윤정.김호현 옮김 / 걷는나무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부모는 그 누구보다 내 아이가 잘되길 바란다.

그래서 교육에 열을 올리고, 내 아이를 위하는 일이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그렇게 애지중기 키워온 아이들이 열살이 넘어가고 조금씩 사춘기에 접어들게 되면 부모는 '이 아이가 정말 내 아이인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무 이유없이 성질을 부리기도 하고, 반항적인 행동을 해서 부모를 당황하게 만든다.

툭툭 내뱉는 말에는 가시가 돋혀있고, 말대꾸에 꼬투리잡기까지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한다.

아이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사춘기가 왔다는 증거인데, 처음 겪는 부모로써는 당황할 수 밖에 없다.

나 역시도 아이의 그런 모습에 도대체 내가 뭘 잘못했는지 생각해 봐야 했으니까...

 

 

 

 

처음에 이 책을 볼 때는 단순히 교육 도서인줄 알았다.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해야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을 가려서 해야 한다는 그런 교육서 말이다.

흔히 알고 있는 긍정적인 말은 아이들에게 자주 해주고, 부정적인 말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등...

그런 종류의 책인줄 알았는데, 이 책은 사춘기 아이와의 대화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사춘기 아이들과 부모의 대화를 중점적으로 다룬 책이었다. 말문을 닫아버리고, 작은 일에도 심하게 화를 내며 부모를 제압하고 무시하려고 하는 사춘기 아이들의 말투를 보면서 '우리 아이만 그런거는 아니구나' 하는 생각에 안도의 한숨을 내쉬기도 했다.

 

 

 

 

이 책에는 사춘기 아이와의 대화가 많이 등장하는데 내가 생각해도 심하다 싶을만한 부분들도 많았었다.

심하다고 생각은 했지만, 사춘기 아이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이라고 하기에 10대를 키워본 부모라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10대들의 건방적인 행동은 사춘기 아이들의 일반적인 특성이며 10대와 10대 사이의 싸움은 청소년기가 끝나갈 무렵이 되면 자연스럽게 줄어든다. 자신이 행동했던 것이 잘못되었다는 걸 느끼게 되고, 부모의 입장을 조금씩 이해하면서 줄어들게 되는데 그때까지 부모에게는 많은 인내가 필요하다.

아이들은 무조건 부모에게 이해해 달라고 하며 말도 안되는 억지를 부리며 떼를 쓰기도 한다.

그러고 보니 사춘기는 5~6살 어린아이와 같은 부분이 있다.

아이들과 대화를 하면서 대화 중간에 끼어들거나 부모가 할말을 하면 아이들은 대화의 문을 꼭꼭 닫아 버린다. 그러면 결국 부모는 아이와 대화를 할 수가 없고, 아이를 통제하려고 하고, 가르침을 하려고 했던 부분은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다. 아이가 하는 말에 무조건 공감할 수는 없는데, 차라리 아이에게 조언을 해주는 대신 대답만 해주어도, 아이들은 자신이 하고픈 말을 하게 된다.

아이의 말 중간에 부모가 말을 하게 되면 오히려 반항심이 생겨서 오히려 싸움으로만 번지게 된다.

말 한마디로 아이의 마음을 돌려놓을 수 있다는 생각을 부모가 버려야 한다.

 

 

 

 

부모들의 마음은 다 똑같다.

아이의 안전을 지키고, 아이가 세상에 나갈 준비를 시키고, 아이의 사랑을 받고 싶은 마음.

결국 아이들은 부모의 바람대로 잘 견뎌낼 것이다. 그리고 부모의 사랑을 받은 아이는 언젠가는 부모에게 돌려줄 것이다.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때까지 참고 기다리는 것이다.

부모가 된다는 건 참으로 어렵다는 걸 느끼게 된다.

부모는 언제까지 기다려야 하는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