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아기의 여행 - 이원수 단편 동화 햇살어린이 3
이원수 지음, 김태연 그림 / 현북스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별 아기의 여행>에는 195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발표된 8편의 단편 작품이 들어 있어요.

단편 속에서 고향의 향수를 느껴볼 수 있는 부분도 있었고, 옥토끼가 나오는 달나라에 간 사람들 이야기를 보면서 그때 당시에 그런 생각을 했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했답니다.

단편을 통해 시골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그때 그 시절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었고, 옛모습을 책에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느낌이 들었어요.

아이들 도서였지만 어른들이 읽기에 정감이 느껴지는 도서였어요. 하지만, 그 이면에 슬프기도 한 부분도 있었어요.

 

 

 

효실이는 길에서 친구에게 짓궂은 장난을 하고 있는 갑용이를 보게 되지요.

갑용이를 밀어뜨린 효실이는 집에 와서 심한 꾸중을 듣고, 학교도 다니지 말라는 얘기를 듣게 되었어요.

사연인즉 효실이가 넘어뜨린 갑용이네 집에서 가게집을 빌려주기도 했는데 효실이 일로 가게가 다른 사람한테 넘어가서 더 이상 효실이를 중학교에 보낼수도 없고, 화가 난 아버지는 그 일로 효실이에게 학교를 그만 두라고 한거예요.

그 이후로 효실이는 학교에 가지 않고 논에 나가 새를 쫓기도 하고, 물 웅덩이를 바라다 보기도 하지요.

추수 날 친구들이 효실이네 찾아오게 되고, 효실이 아버지한테 좋은 소식을 듣게 된답니다.

지금은 돈이 없어서 학교를 안다닌다는 상상은 할 수도 없을거예요.

하지만, 효실이는 돈이 없어서 중학교도 다니지 못할뻔 했답니다.

효실이가 얼마나 속상했으면 학교도 안나가고 죽을 생각까지 했을까요?

 

 

여울목에서는 새 엄마를 맞아들인 일웅이 얘기랍니다.

어릴 때부터 소아마비라 학교를 업고 다닌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아버지는 새 엄마를 얻게 되는데, 일웅이는 그런 아버지가 너무 싫어요.

자신이 다리 병신이기 때문에 새 엄마도 자신을 싫어할거라고 생각했고, 새 엄마는 계모라고 생각했으니까요.

어미니를 생각하며 어머니와 같이 살고 싶은 생각에 바닷물이 차 오르는 것도 모른채 바위에 앉아 있다가 죽을뻔 한걸 새 엄마와 아버지가 와서 구해주시지요. 나쁘다고 생각했던 새 엄마가 사실은 일웅이를 친자식처럼 생각하며 보살펴 주고 싶다는걸 알게 되었지요.

새 엄마를 통해 일웅이는 변하게 되고, 가족이 되어 함께 살게 된답니다.

참 마음이 따뜻해지는 동화입니다.

일웅이가 처음에 아버지를 이해하기는 어려웠겠지만, 마음을 열고 새 엄마를 받아들이게 되니 아버지까지 이해하게 되었지요.

그리고, 어쩌면 새엄마가 친엄마처럼 일웅이를 사랑해줄지도 모르구요.

 

 

달나라에 정말 옥토끼가 살고 있을까요?

이 이야기는 아이들 동요에서 나오는 부분인데요.

이 동화에서는 달나라 옥토끼 이야기가 나와요.

옥토끼들은 사람들이 타고 온 우주선을 보고 사람은 괴물처럼 생겼다고 생각했어요.

달나라에 온 사람들을 위해서 옥토끼들은 떡을 준비하고, 사람들과 떡을 나누어먹기도 하지요.

그리고 달 노래에서 들었다면서 지구로 가는 길에 계수나무를 선물로 준답니다.

달나라에 정말 옥토끼가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동요가 현실로 이루어지는 재미있는 동화였답니다.

 

 

파란 구슬 이야기에서는 산새 알을 꺼내러 간 명수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산새 알을 꺼내 와 동생과 맛있게 먹었던 명수는 밤에 꿈을 꾸게 되지요.

호랑이가 명수와 동생을 물어가게 되고, 엄마는 명수와 동생을 찾으러 가게 되지요.

이 이야기는 산새 알에 빚대어 들려주는 이야기인데요.

명수가 없어지면 엄마가 명수를 찾듯, 산새 알을 그렇게 가져가면 엄마 새가 알을 찾게 된다는 내용이지요.

아마 명수는 그 꿈을 꾸고 나서는 다시는 나쁜 짓을 하지 않을거예요.

 

 

그러고 보면 예나 지금이나 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장난감은 다 있었던 것 같아요.

비록 풍족하진 않아도 아이들은 스스로 놀이를 찾아서 신나게 뛰어 놀기도 했던거 같아요.

요즘은 아이들 장난감이나 놀 것은 풍족해졌지만, 옛날처럼 이렇게 뛰어놀지 못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안타까운 생각이 들어요.

어쩌면 그때 그 시절이 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