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대장의 창의력 글쓰기 - 신나고 재미있는 글쓰기 놀이터
이혜영.이승현 지음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의 창의력과 상상력은 무궁무진하다.

지금 이렇게나 과학이 발달하여 편리한 생활 속에서 생활하는 것이 바로 별것 아니라고 생각했던 호기심에서 출발한 것은 아닐까?

부모들이 생각지도 못한 말들을 아이들이 할 때 아이들의 창의력에 놀라기도 한다.

많은 책을 읽기도 하고, 그만큼 생각 주머니가 크게 자랐기 때문일 것이다.

예전보다 다양하고 좋아진 책들과 많은 자료 덕분에 아이들은 맘만 먹으면 무엇이든지 할 수가 있다.

이 부분은 내가 자랄때보다는 요즘 아이들이 받고 있는 혜택이라고 할 수도 있다.

반면 뛰어놀 시간이 부족하고, 밖에서 노는 아이들이 적은 현실 속에서 조금 안타까운 생각이 들기도 한다.

 

 


 

요즘 논술 시험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아이들이 해야 할 일은 자꾸만 늘어난다.

책읽기가 중요하다고 해서 책을 읽히기는 하지만, 책읽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까지 잘해줬으면 하는 엄마의 바램이 있다. 하지만, 글쓰기라는게 생각처럼 쉽지가 않다.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책을 읽고 독서기록장이라도 쓰라고 하면 별로 쓸말이 없다면서 몇줄만 채우는 아이를 보면 글쓰기를 어떻게 하면 잘하게 해줄 수 있을지 생각하게 된다. 우리 아이 같은 경우는 남자 아이라서 그런지 글쓰기를 그닥 좋아하지 않는다. 책을 읽고 어떤 독후활동을 할지 물어보면 차라리 시간이 많이 걸려도 글쓰기보다는 그림을 그리는 편을 선택하기도 한다.

늘 마음 한켠에서는 글쓰기에 관심이 없는 우리 아이에 대한 생각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글쓰기를 잘하는 엄마의 마음을 담은 이 책이 출간되어서 다행스럽고 반갑기도 하다.

 

 

 

 

이 책은 아이들의 글쓰기에 대한 책인데, 구구절절한 내용보다는 예문을 통해서 실제 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는 책이다.

다양한 생각 자라기 부분에서 글쓰기를 쉽게 접할 수 있는데, 교과서적인 느낌이 들기도 했다.

글쓰기를 잘하려면 교과서를 토대로 연습하면 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이 책에서는 어떻게 글쓰기를 시작해야 하는지, 어떤 소재를 찾아야 하는지, 글쓰기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책을 통해 자연스럽게 익혀나갈 수 있다.

 

 

 

 

글쓰기의 시작은 바로 '생각하기'인데, 아이들이 글쓰기가 잘 안되는 이유는 생각을 안하는 것과 생각이 정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요즘은 물어보면 바로 답이 나오는 시대이다보니 아이들에게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다는게 어쩌면 귀찮은 일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아이들에게 글쓰기의 시작은 생각하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걸 알려주고, 생각이 났을 때 작은 것이라도 쓰는 습관을 들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하고, 소재를 찾아보면서 자연스럽게 글쓰기가 되는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하지만, 처음이 어렵지 조금씩 연습하다 보면 어느새 글쓰기가 훌쩍 늘어나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생각을 굴려보기 -> 생각의 틀이 짜기 -> 생각을 펼쳐보기 -> 생각을 다듬어 보기 -> 생각을 써보기

 

 

 

 

글쓰기의 시작은 생각하기이고, 모든 것의 출발점은 바로 생각에서 나온다.

멋진 집을 짓기 위해서는 뼈대부터 튼튼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아무런 준비없이 쓰는 것보다 글 전체의 짜임을 먼저 만들고 나면 글을 쓰는 일이 쉬워진다. 글쓰기를 잘하려면 내가 생각한 것을 잘 표현하는 것이다. 내 생각을 틀에 맞춰 펼친 다음 다 쓴 글을 다시 읽어보고 수정하며 다음어 보면 되는 것이다. 글쓰기를 하면서 모르는 단어가 나오면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많은 도움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 아이가 쓴 글을 부모가 봐주고, 칭찬해 주는 것이다. 책을 읽을 독자가 없으면 작가가 쓰는 글이 의미 없듯이 내 아이가 쓴 글을 아무도 봐주지 않으면 아이들은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뭐든지 시작이 반이다. 어렵다고 생각하지 말고, 학습지 한장 풀리는 시간을 줄여 아이들과 한장씩만 해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