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은 어떤 날일까요? - 명절 어떤 날일까요? 2
양태석 지음, 김효진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절하면 흔히 설날과 추석을 떠올리게 되어요.

차를 타고 여기 저기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아이들은 설날에는 세뱃돈도 받고,

추석때는 할머니와 할아버지께 용돈도 두둑히 받아요.

이런 묘미 때문에 아이들에겐 명절이 뜻깊은 날이지요.

그리고, 학교를 안가고 며칠씩 쉰다는 생각 때문에 아이들에겐 행복한 날이예요.

쉰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아이들은 너무나 행복하니까요...^^

 

 

 

 

 

일 년 중 가장 큰 명절인 설날(음력 1월 1일)에는 설빔을 입고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요.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고, 덕담을 들어요.

그리고 세뱃돈도 받구요.

떡국을 먹고 나이를 한 살 더 먹어요.

물론 떡국을 안먹는다고 나이를 안먹는건 아니지만, 설날에는 떡국을 먹지요.

 

 

 

 

이제 곧 있음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인데,

어젠 마트에 갔더니 벌써 대보름을 준비를 위해 호두, 땅콩, 밤 등 부럼들이 나와 있었어요.

부럼을 깨물어먹으면 한 해 동안 부스럼이 생기기 않고 이가 튼튼해진다고 해요.

귀가 밝아진다고 하여 귀밝이술도 먹지요.

 

한식(양력 4월 5일~6일경)은 24절기의 하나인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예요.

옛날부터 한식은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불렸어요.

한식날이면 많은 분들이 산소를 손질하곤 하시는데, 한식이 이렇게나 큰 명절인줄은 미처 몰랐어요.

 

 

 

 

 

머슴날이라고 불리는 백중(음력 7월 15일)은 머슴을 둔 집에서 하루 동안 일을 쉬게 하고 술과 음식을 차려 주었대요.

농사가 잘된 집에서는 머슴을 소에 태워 마을을 한 바퀴 돌기도 했구요.

그리고 보니 쉴 시간이 없는 머슴에게 하루 동안 먹고 쉬는 날을 만들어 준거였군요.

이런 날까지 만들어 챙겨주신걸 보니 우리 조상님들은 머슴이라도 소홀히 생각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제비들이 따뜻한 강남으로 날아가는 중양절(음력 9월9일)은 한 해 농사를 수확해요.

노란 국화로 국화전을 부치고 국화주도 담아요.

중양절쯤 되면 제비가 남쪽으로 날아가는거였군요.

단지 날이 조금 서늘해지면 날아간다고 생각했었는데 중양절에 그런 의미가 있는 줄 몰랐어요.

섣달그뭄은 한해의 마지막 날로 밤 늦도록 잠을 자지 않아요.

새벽닭이 울기 전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된다는 말이 있거든요.

 

 

 

 

 

예로부터 농사를 짓는 우리 민족은 조상님께 제사를 지내고 예를 갖추는걸 중시했어요.

그러다 보니 이런 저런 명절이 많이 있는데요.

풍년을 기원하는 행사나 의식이 많았던거 같아요.

함께 모여 음식을 먹고, 민속놀이를 즐기면서 공동체 의식을 갖기도 한 것 같아요.

서로 어울리면서 나눔을 실천하기도 했구요.

 

우리 조상은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때문에 달을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시계가 없었던 옛날에는 달의 흐름이 시간의 흐름을 알려주었어요.

그러다 보니 명절은 주로 음력인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아요.

보름달이 뜨는 15일을 좋아하고, 보름달을 보면서 소원을 빌고 다양한 행사를 벌이기도 했지요.

홀수가 겹치는 날을 길일이라고 생각하여

양수가 겹친 1월 1일,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이 모두 명절이랍니다.

보름달이 뜨는 날을 택해진 명절과는 달리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나눈 24절기와 명절의 차이점을 알 수 있었어요.

달력에 보면 달력 밑에 작은 글자로 써 있는 부분이 명절인지 24절기인지 알 수가 없었는데요.

이 책을 보다 보니 명절과 24절기가 확실이 눈에 들어오네요.

 

 

 

 

 

단순히 명절은 큰 명절만 생각했었는데 이렇게나 명절이 많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명절을 보다 보니 한해를 다 돌아본거 같아요.

이제 명절의 의미를 알았으니 이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되었어요.

명절은 단순히 먹고 노는 날이 아니라 의미있는 날이라는걸

아이들에게 알려주면 더 좋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