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위 고아 소녀 청소년시대 1
수지 모건스턴 지음, 김영미 옮김 / 논장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고아란 부모가 없는 아이들이다.

부모가 없기 때문에 소년소녀 가장이 되어 할머니나 할아버지를 모시고 살곤 한다.

또는 갈곳이 없어 부모 없는 아이들과 함께 단체로 생활하기도 한다.

부모가 없다는 이유만으로도 사랑받지 못하고, 가족이라는 울타리에서 생활하지 못하는 너무 안쓰러운 아이들이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온 고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다르게 묘사되고 있다.

단지 부모만 없을 뿐이지 대단한 부를 가지고 호화생활을 하고 있는 아이들이다.

 

열여섯 살 프랑스 고아 소녀 클라라는 글짓기 대회 상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가정에서 3주간 생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클라라는 자신이 생활할 곳이 화목한 가족으로 구성된 집과 자신이 편지를 주고 받았던 사람이 멋진 남자일거라는 생각을 하지만, 클라라와 편지를 주고 받았던 사람은 뜻밖에도 일흔이 넘어서 개와 함께 살고 있는 할아버지임을 알게 된다. 클라라는 실망이 컸지만 할머니 손에 자라면서 할머니가 하신 말씀을 기억하며 일단 해보기로 하며 그곳에 남기로 한다.

할아버지는 나이가 많은 것만 빼면 꽤 괜찮은 분이었다.

클라라를 위한 배려와 클라를 위해서 맛있는 음식을 준비해 주시기도 한다.

클라라가 온다는 걸 알게 된 이후로 클라라를 위해 나무 위에 집을 지어주셨다.

 

할아버지는 알츠하이머를 앓는 노인들을 위해서 집을 짓고 계시고, 그 인력으로 아무도 써주지 않는 알콜중독자 아이들을 쓴다.

할아버지가 일을 하러 가신 사이 클라라는 나무 위에서 책도 보고, 할아버지를 위해 스튜를 준비하기도 한다. 클라라가 준비한 스튜를 먹은 할아버지는 천국에 온 것 같다면서 백설 공주가 요술 손가락으로 기적을 만들어 냈다는 말씀을 해주신다.

할아버지를 돕기 위해 공사장에 가기도 하지만, 그런 일을 한번도 해보지 않은 클라라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클라라는 자연 속에서 할아버지와 함께 생활하며 행복한 생활을 하게 되며, 자신이 생활하면서 느껴보지 못했던 부분을 조금씩 느껴가기 시작한다. 할아버지 덕분에 운전면허를 따기도 하고, 자전거 타기와 밸리댄스를 배우기도 한다.

클라라는 자전거를 타게 된 기념으로 뜻밖의 선물을 받게 되는데 우연인지 몰라도 할아버지가 주신 선물이 자신이 늘 가지고 다니던 손수건과 똑같은 손수건이었고, 손수건 한쪽에 새긴 이니셜만 다를뿐 한장으로 맞춰지는 것이었다.

 

크리스마스 이브날 클라라는 지미네 집에 크리스마스 파티를 가게 되고, 할아버지는 클라라를 데리러 왔다가 갑자기 병원으로 가게 된다. 할아버지가 병원에서 검사를 하는 동안 클라라는 할아버지가 자신에게 맡긴 지갑을 보게 되고 지갑 속에서 자신의 할머니 사진을 보게 된다.

할아버지는 치료를 받고 무사하게 퇴원을 하게 되고, 클라라는 자신의 할머니가 남긴 편지를 할아버지에게 읽어 드리게 된다.

 

"여전히 행복한 이야기네요. 도대체 행복이 뭐죠?"

"너와 함께 있는 이 순간."

"맞아요, 우리가 함께 있는 지금 이 순간이에요."

"그러니까 행복이란 모든 것이 완벽하고 변하지 않을 바로 그런 순간들이지." <본문 p.161 일부 발췌>

 

이 책에는 진한 감동과 사랑이 배어있다.

할아버지는 클라라를 처음 만나는 순간부터 사랑에 빠진다.

자신의 첫사랑과 닮았다는 이유로 말이다. 클라라가 만들어준 스튜를 먹으면서 행복해 하고, 자신의 여인이 입었던 드레스를 클라라에게 주면서 그 모습을 보고 자신의 옛 연인을 보는 듯한 느낌을 가지기도 한다.

사람들이란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을 추구하면서 행복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클라라 역시 자신이 갖지 못한걸 찾으면서 행복을 추구한다. 자신의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지만 할아버지와 함께 생활하면서 진정한 행복이 뭔지 알아가게 되고, 편지를 통해 할머니의 마음을 할아버지에게 전해주기도 한다. 클라라가 여섯 살 때 쓴 편지를 들으면서 행복에 겨워하는 할아버지 모습이 눈에 보이는 듯하다.

할머니의 편지를 통해서 사랑의 마음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고, 비록 지금은 고아가 됐지만 할머니의 사랑을 듬뿍 자란 클라라의 모습을 볼 수가 있었다. 그 시대상 비록 결혼을 하지는 못했지만 사랑이란 감정이 얼마나 그토록 사람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책이었다.

아이들에게 행복이란 뭔지, 진정한 사랑이란 어떤건지 알려주는 책이었다.

소설을 통해서 만나 보았지만 마음 속에 잔잔한 울림이 있는 참 멋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