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운 국수 - 한 권으로 끝내는 대한민국 대표 국수 요리 나의 첫 번째 요리 선생님
김정은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밥은 아무리 먹어도 질리지 않지만, 가끔은 다른 음식을 먹고 싶을 때가 있다.

한끼를 때울만한... 그러면서도 간단히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찾곤한다.

특히 주말에는 밥보다는 하루에 한끼쯤은 다른 음식을 찾곤 하는데 우리집은 주말 점심엔 국수나 샌드위치나 빵을 먹곤 한다.

외식을 하기도 하지만, 주말이라는 이유 때문인지 나가는 것이 귀찮을 땐 집에서 간단하게 해먹을만한 무언가를 찾게 된다.

간단하게 먹을 수 있으면서도 색다른 음식인 국수.

 


국수는 간단하고 손쉽게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뜻함과 시원함을 함께 가지고 있으니 사계절 내내 먹어도 맛있게 먹을 수 있다.

국수는 누구나가 좋아하고 이렇게 쉽고 편하게 먹을수는 있지만, 영양면에서 좀 부족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처음엔 '국수가 무슨 영양가가 있겠어?'라는 생각을 했지만, 책을 쭈루룩 넘겨보니 국수를 이렇게 영양까지 생각해서 다양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는 것이 나의 시선을 끌어 당겼다. 

 

 

여기에는 국수 요리뿐만이 아니고, 면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그만인 책이었다.

국수를 포함하여 우동, 라면, 짬뽕, 쫄면, 파스타까지...

맛있는 면 요리를 생각하니 벌써부터 군침이 돈다.

국수 요리에 자신이 없는 사람도 여기에 나와있는 레시피를 활용하면 국수를 다양하고 맛있게 요리할 수 있다. 

 

 

국물 요리로는 주로 멸치다시마국물을 사용하곤 했는데, 책에서 알려준 쇠고기국물과 닭고기국물로 국수 요리를 하면 어떤 맛이 날지 궁금해지기도 했다. 가끔은 일부러 어묵국을 많이 끓여서 한번은 국으로 먹고, 한번은 거기에 국수를 넣어서 어묵 국수로 활용하기도 했었다.

여름철에 냉면을 먹고 나서 냉면 육수가 아까워서 거기에 양념을 해서 밥을 말아먹곤 했었는데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그 맛을 모른다.

 

 

모든 요리의 기본은 계량이듯이 정확인 계량이 중요하고, 국수마다 삶은 시간이 다르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체크했다.

면을 삶을 때 쫄깃하게 삶기 위해서는 끓을 때 물 한컵을 부어준다는 팁도 얻을 수 있었다.

그동안 국수 요리를 하면서 주로 잔치국수나 비빔국수만 해먹어봤는데 이젠 새로운 국수 요리에 도전해 볼 수 있을것 같다.

특히 그동안 해보지 않았던 볶음 국수는 어떤 맛일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그동안 생각했던 국수에서 벗어나 다양한 면 종류의 요리를 접해볼 수 있는 괜찮은 책이었다.

국수를 좋아하는 이들에게 좋은 책이 될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