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자리에 서게 하려면 집중력을 키워줘라 - 집중력 전문가 이명경 박사의 교육 노하우
이명경 지음 / 명진출판사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살아가면서 무슨 일을 하던지 집중력은 꼭 필요하다.

일을 할때도, 책을 볼때도, 이야기를 할때도, 그리고 내 아이를 돌볼때도 마찬가지다.

집중력은 타고난 것도 있지만,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서 얼마든지 더 늘어날 수도 있다.

흔히 집중력이 강하다고 하는 사람들을 보면 그건 집중을 하려고 하는 마음이 크기에 집중력이 더 커진 것이 아닐까?

 



엄마들은 아이가 집중력이 없다면서 걱정을 하기도 한다.

늘 산만한 아이를 보면 뭐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어떻게 하면 내 아이의 집중력을 키워줄 수 있는지 걱정하고 생각한다.

책의 첫장은 가슴으로 쓰는 일기를 시작으로 하고 있는데, 아이를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글을 쓴 사람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가끔 내 아이와 비슷했던 상황이 보이기도 하면 더욱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뒷부분으로 갈수록 아이가 좋아진 내용들을 담아 준 편지가 보일 때는 내 마음이 함께 기쁘기도 했다.

이 편지들을 보면서 부모의 마음 가짐으로 인해 아이를 불행하게 할 수도 있고, 행복하게 해줄 수 있다는걸 알았다.

모든 교육의 시작은 바로 가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기초로 하고 있었으며, 아이의 문제점 역시도 가정에서 출발하고 있었다.

아이의 문제점을 찾아 버티다 못해 결국 상담소를 찾아 해결한 사례들도 있었지만, 가정에서 부모의 생각바꿈만으로도 치유가 된 경우도 있었다.

 

 

아이에게나 어른에게나 집중력은 상당히 중요하다.

집중력은 선택사항이 아니라 생각과 정서를 창조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생을 더 적극적으로 개척해나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모든 아이들이 천재로 태어나지만 천재로 자라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부모 때문이다.

부모가 주입하고 강요하는 획인적인 교육과 아이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기보다는 부모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아이의 천재성이 훼손되고 있다.

실제 사례들을 보면서 부모의 잘못으로 아이가 집중력을 갖지 못하고, 산만해진 경우들이 더 많았다.

아이는 충분히 집중력을 키울 수 있는 상황임에도 부모가 자신의 잣대로 아이들을 조종하고 움직이려 하다보니 아이는 흥미를 잃어가고, 집중력을 키울 수 있는 여건을 가질 수가 없었다.

 

 

1968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상위 20% 아이들의 명단을 선생님께 넘기고 된다.

8개월 뒤 지능검사를 다시 실시한 결과 그 아이들이 다른 아이들보다 학업성적이나 지능지수가 높게 나왔는데, 실제적으로 그 명단은 무작위로 뽑은 결과였던 것이다. 이 실험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기대와 격려가 아이의 행동을 바꾼다는 것이다. 내 아이에 대한 잠재력과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으면 아이는 미래를 향해 나아가게 된다.

 

아이들은 불안한 상태에서는 집중력이 높아질 수 없다. 또한 집중을 못한다고 야단치는 부모의 행동은 오히려 아이의 집중력을 떨어뜨린다. 집중을 잘하는 아이를 만들려면 아이가 조금 부족하더라도 여유있게 기다리면서 아이의 장점과 적성을 찾아 칭찬해주어야 한다. 아이 스스로가 결정해서 할 수 있도록 주도적으로 행동할 기회를 제공해 주어 자신감과 성취감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집중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얘기해 주고 있다. 우리가 자는 동안 우리 몸의 온도는 섭씨 1도 정도 체온이 내려가기 때문에 아침밥을 먹기 전의 체온은 섭씨 35.5도에 머문다. 체온이 낮은 상태에서는 뇌의 활동도 떨어지고, 아침밥을 거르게 되면 몸의 체온이 높아지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게 된다.

 

 

아이마다 집중력은 각자 다르다.

집중력이 낮다고 아이를 혼낼 것이 아니라 아이의 집중력을 부모가 꺽은건 아닌지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아이와의 눈높이에서 함께 대화하고, 아이의 마음을 부모가 충분히 읽어주어야 한다. 그것만으로도 아이는 달라질 것이다.

집중력을 키우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내 아이에게 맞는 방법으로 조금씩 실천하다 보면 처음엔 어렵지만 어느새 아이의 집중력이 훌쩍 자라 있을 것이다. 내 아이의 집중력은 부모하기에 따라서 얼마든지 커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