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금이 우리 누나 쑥쑥문고 77
장경선 지음, 김은주 그림 / 우리교육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로만 듣던 일제 강점기.

사실 저는 그 시대에 태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잘 모릅니다.

어른들께서 나쁜 일본x들이라고 하는 얘기를 들을 뿐이지 피부로 와 닿지는 않으니까요. 

하지만 마음 속에서는 저 역시도 나쁜 x들이란 생각이 크게 자리잡고 있지요.

이번에 <김금이 우리 누나>라는 동화를 통해서 그 시절의 그 모습을 만나보게 되었습니다.

<김금이 우리 누나>는 독자들에게 일제 강점기의 다양한 삶을 알고, 기억해야 할 역사의 비극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어요.

 



단편 동화 4편 속에서 너무나 많은 부분을 처참하게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이보다 더했으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았으리란 생각이 들어 읽는 내내 참 마음이 아팠습니다.

네 편의 동화는 각각 서로 다른 삶을 사는 어린이들을 통해 일본에 대한 울분과 고통 뿐 아니라 아픔의 시간 속에서 우리가 알아야 할 보통 사람들의 비극을 이야기해주고 있어요.

 

마을에 어린 아이들을 잡아간다는 일본 순사 이야기가 떠돌게 되고, 엄마는 밭일을 하다가 부리나케 집으로 달려온답니다. 엄마는 금이에게 동생을 돌보라고 하고, 다시 일을 하러 나가지요. 사실 금이는 말못하는 벙어리입니다. 늘 동생 금동이를 따라다니는데, 그런 금동이는 그런 누나가 싫답니다. 그래서 자고 있을때 몰래 나오는데 어느샌가 보면 누나가 바로 옆에 있답니다.

일본인에게 사탕을 얻어 먹게 된 금동이는 사탕을 100개 준다는 말에 밤에 몰래 집을 나가게 되고, 일본인은 금동이에게 무덤에 있는 도자기를 꺼내오라고 시키지요. 도자기를 전부 꺼낸 후 금동이를 그 굴에 가둬버리고 도망 간 사이 어디선가 금동이 엄마와 아빠가 나타나 금이를 구해 준답니다. 늘 말도 못하고 바보인 것 같아 보이지만, 그런 금이에게 동생은 소중한 존재이지요. 말만 못할 뿐이지 모든걸 알고 있으니까요. 

금이가 없었다면 금동이는 어쩌면 굴 속에서 파묻혀 죽었을지도 모릅니다. 자신들의 도굴 사실을 막기 위해 어린이를 그렇게 죽여야만 했던 일본인들의 만행을 생각하면 사람 목숨이 도자기 값보다 못한가 봅니다.

 

 

 

<마음으로 쓴 편지> 역시도 마음을 아프게 한답니다.

평양 미림 비행장 건설현장에 강제로 끌려와 일하고 있는 기섭이는 늘 마음으로 엄마에게 편지를 씁니다.

연락도 할 수 없고, 돈도 없고, 비행장이 완성될 때까지 집에 갈수도 없지요. 마침내 비행장이 완성된 날 아침상에 밥과 고깃국이 올라오게 되고, 사람들은 집으로 돌아갈 생각에 기대를 하게 됩니다. 집으로 돌아가기 전 마지막으로 사람들은 구덩이를 파게 되고, 모두 총살 당해 자신이 판 그 구덩이 속에 빠져 들어 죽게 되는 내용이랍니다. 채찍을 휘두르며, 죽도록 일만 시키고 제대로 먹여주지도 않는 그들을 보면서 사람으로써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뻑하면 군홧발로 짓밟고, 자신들의 비밀이 드러나는걸 막기 위해 파리 목숨보다도 더 쉽게 사람을 취급했던 일본인들을 보면서 다시는 이런일을 겪지 않기 위해 우리의 과오가 무엇인지 반성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도 했습니다. 나라를 잃은 슬픔이 얼마나 엄청난 일인지, 탐욕이 인간을 얼만큼 타락시킬 수 있는지를 함께 볼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