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통톡, 학부모 걱정에 답하다 - 대한민국 교육정책 초등부터 대입까지
교육과학기술부 필통톡 기획팀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부분의 엄마들은 아이들 때문에 걱정 속에서 산다.

수도 없이 바뀌고 흔들리는 입시제도 때문에 늘 긴장해야 하고, 어떻게 하면 내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까 노심초사한다. 걱정한다고 해결될 일은 아니지만 변화하는 시대에 조금이라도 발빠르게 움직여서 내 아이의 미래를 밝게 해주고 싶은게 부모 마음이다.

필통톡은 변화하는 교육제도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결해주기 위한 책이다.

 

필통톡에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부모들이 궁금해 하는 부분을 담아주고 있다.

초등생과 중학생을 키우고 있는 엄마이기에 교육에 관해 아는 내용도 있었지만 앞으로 겪어야 할 일들은 모르는 부분이 많았다. 특히 책 중간 중간에 나와 있는 유용한 사이트들은 아이의 진로를 위해서 알아두면 좋은 곳이었다.

부모가 아이에게 공부를 시키는 이유가 바로 아이의 미래를 위해서이다.

부모는 아이가 잘되려면 일단 공부를 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좋은 진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공부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아이가 힘든줄 알면서도 무리하게 공부를 시키게 된다. 혹여라도 학원을 안보내면 내 아이만 뒤처지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크기에 학원을 안보낼 수도 없다. 학원이 능사는 아니지만 부모의 불안한 마음을 달래주기엔 학원만한 곳이 없기 때문이고, 학원을 보내면 아이의 성적이 어느 정도 따라준다는 생각에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솔직히 공교육을 믿지 못하는 부모들의 불안감도 한몫하고 있다는 점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내 아이를 위한다면 다양한 독서와 체험학습 위주의 교육이 좋다고 하는데 학원에 다니느라 바쁜 아이들은 그럴만한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 체험학습도 부모의 주도하에 거의 반강제적으로 하기 때문에 그런 교육이 아이에게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내 아이가 행복하게 살려면 부모가 보기 좋은 일이 아니라 자녀 스스로 즐거운 일을 해야 한다. 요즘은 진로 교육도 있고, 진로 교육이 중요하다는 생각 때문에 아이에게 부모가 진로를 찾아주려는 경향이 있는데, 진로는 바로 아이 스스로가 찾아야 하는 것이다. 내 아이를 가장 잘아는 것은 부모이지만, 자기 자신을 가장 잘 아는 것은 본인이기 때문이다. 부모는 지지자로서 함께 있어주면 되는 것이다.

 

입학사정관제를 실시한지 현재 5년차에 접어들고 있는데 입학사정관제의 도입으로 학생들은 대학 수업에 빠르게 적응하고 학교생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교 만족도가 높다. 그리고 중도에 학교를 그만두는 학생도 줄어들었다고 한다. 또한 이들은 적성과 능력 위주의 대학 진학과 학과 선택이 직업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행복한 미래를 설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반면 성적 위주로 대학과 학과를 선택한 아이들은 중도에 포기하고 어디를 가야할지 몰라 갈팡질팡 하는 경우가 많다.

 

자녀를 키운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내가 해주고 싶어도 대신 해줄 수 있는 부분도 아니고, 아이가 부모의 뜻대로 움직여주는 것도 아니다. 진정으로 내 아이의 생각한다면 공부를 강요하기 이전에 내 아이가 좋아하는 일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인듯 싶다. 그리고, 그 좋아하는 일을 아이가 찾을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주는 것이 바로 부모의 역할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