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쓰는 아이들 - 위대한 작가가 된 여섯 명의 아이들 아카넷주니어 아이들 시리즈
차리스 코터 지음, 이루미 옮김 / 아카넷주니어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읽기와 글쓰기를 좋아하는 아이들은 작가를 꿈꾸기도 한다.

서재에 앉아 펜을 잡고 있는 모습이 때론 멋있어 보이기도 하니까...

그리고, 나만의 상상 속 세계에서 펼쳐지는 이야기에 빠져들어 행복한 시간을 보내곤 한다.

세상을 쓰는 아이들에는 여섯 명의 작가 이야기가 나온다.

이들은 어떻게 작가의 꿈을 갖게 되었을까?

이 책에 나오는 작가는 우리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유명한 작가들이다.

작가 이름은 몰라도 책 제목을 알려주면 아하~하고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빨강머리 앤>의 루시 모드 몽고메리.

<나니아 연대기>의 C.S 루이스.

<샬롯의 거미줄>의 E.B 화이트.

<시간의 주름>의 매들렌 렝글.

<황금 나침반>의 필립 풀먼.

<난 버디가 아니라 버드야!>의 크리스토퍼 폴 커티스.

 

 

 

그들이 작가가 된 배경은 각자 달랐지만, 가난하고 어려웠던 시절의 외로움과 아픔을 글로써 표현한 작품들이 많았다. 실제로 크리스토퍼 폴 커티스를 제외한 다섯 작가들은 어렸을 때 환경이 좋지 않았다. 하지만 그들은 책읽기를 좋아하고, 일기를 즐겨 썼으며 혼자만의 상상의 세계에 빠져들기도 했다. 커티스 같은 경우는 의사인 아버지가 계셨지만, 흑인이라는 이유로 병원에 손님들이 찾아오지 않아 숨은 재능을 뒤로하고 공장에서 일을 해야만 했다. 저녁을 먹은 후 6시 30분에 잠자리에 드는게 싫어서 책을 읽기 시작한 커티스는 그때부터 닥치는 대로 책을 읽으며 책과 함께 하는 시간을 보내게 된다.

 

 

 

몽고메리는 아홉 살 때부터 평생 동안 일기를 썼기에 가장 친한 친구를 일기장이라고 했을 정도였다. 새어머니와 함께 살게 된 몽고메리는 학교도 가지 못하고 집에서 아이들을 돌보고 집안일을 해야 했는데, <빨강머리 앤>에서 앤이 어린 시절 집안일을 하는 장면은 몽고메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렝글은 얌전하고 수줍음이 많은 아이였지만, 4학년 때 뉴욕 사립학교에 들어가게 되면서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상하고 멍청한 아이라는 심한 상처를 얻게 된다. 6학년 때 학교 백일장에 출품한 시에서 입상을 하게 되는데, 담임 선생님은 멍청한 렝글이 훌륭한 시를 썼을 리 없다고 말할 정도였다.

타고난 이야기꾼인 필립 풀먼은 배를 타고 떠난 여행에서 상상력을 키우기도 했고, 새아버지가 사다 준 만화책을 통해 새로운 인생을 살게 된다. 동생에게 밤마다 이야기들 들려주면서 불이 꺼진 자신의 방을 슈퍼 영웅들로 채워 나가게 된다. 중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는데 아이들을 위한 연극 대본을 쓰는 것을 좋아하다 보니 아이들을 위한 동화도 쓰게 되고, 평생 자신이 할 일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었다.

 

 

 

자신의 이야기들을 책으로 쓴 작가들이 많았는데, 작가의 책 속에는 어렸을 때 쓰던 일기 내용을 직접 담은 경우도 있었다. 자신의 경험담과 그 속에서 자신이 마음에 드는 사람을 책속의 인물로 묘사하기도 했다. 여기 나온 작가들은 처음부터 작가가 된다고 생각했다기 보다는 자신만의 주어진 시간을 책과 친하게 지내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작가가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유명한 작가의 길을 걸을 수 있게 되었다.

누구나가 꿈을 가지고 살아간다. 하지만, 그 꿈은 자신의 환경과는 상관이 없는 것 같다.

아이들이 스스로가 잘하고 좋아하는 것을 찾는다면 작가뿐만 아니라 그 어떤것도 가능하리라는 생각을 갖게 해준 책이었다. 그들의 삶이 평범했다면 어쩌면 그들은 작가가 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