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미래를 망치는 엄마의 상식 - 대한민국 상위 1% 엄마들만 아는 상식은 따로 있다!
김용섭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은 끊임없이 공부를 한다.

학교에 다녀와서 학원에 가야하고, 학원에 다녀와서 밀린 숙제며 학습지도 해야 한다.

아이들이 이렇게 바쁜걸 알면서도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공부를 시킨다.

아이들이 공부를 하는 이유는 미래에 좋은 직업을 가져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하는 희망 때문이다.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명문대를 나와야 하고, 부모들이 인정하는 의사, 변호사, 교수가 되어야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하지만, 부모들이 생각하는 이런 직업들이 점점 쇠퇴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 부모들은 모르고 있다. 한해에 배출되는 인원에 비해 수요를 충당할 곳이 없어서 엘리트 코스를 밟고도 전공과 전혀 상관 없은 곳에서 일하고, 전문직인 그들인 소위 월급쟁이로 전락하고 있다.

 

초등학생들의 장래 희망 1순위가 공무원이라는 사실과 대졸자들이 환경미화원에 지원하는 것에서 심각한 취업난을 말해주고 있다. 현재로써는 정년까지 보장되는 안정적인 직장을 찾는 이들에게 공무원은 최고의 직업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미래로 갈수록 아이들의 취업난은 점점 더 심각해 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려되고 있다. 로봇이 사람과 경쟁을 해본다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는가? 사람이 하는 일을 로봇이 등장함에 따라 그것들을 관리할 사람이 몇명만 필요할 뿐이니 더 이상 사람이 필요없다라는 얘기이다.

 

행복한 일자리를 찾으려면 지는 산업, 지는 직종을 알아야 하고 적어도 10년에서 20년 뒤의 미래를 내다보는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 유망 산업에 따라 유망 직업의 흐름이 바뀌고, 유망 학과의 선호도가 바뀐다. 결국 시대의 흐름, 경제의 흐름을 얼마나 잘 읽느냐가 중요하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펴낸 보고서에서 앞으로 20~30년 뒤 유망한 직종으로는 지식, 녹색 성장, 생명과 건강 분야를 꼽았다. 이 밖에도 인문 계열로는 통신, 금융, 보험, 오락 문화 서비스업이 부상하면서 광고, 연구 개발, 컨설팅, 디자인, 마케팅, 법무, 회계 등 사업을 지원하는 서브서업도 유망한 일자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아이의 안정적인 미래를 위해서는 자신의 꿈이 무엇인지 주도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미래의 스티브 잡스나 마크 주커버그처럼 아이가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것을 직업으로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부모는 아이의 미래를 대신 살아주지 못한다. 앞으로는 로봇이 할 수 없고,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이 최고의 경쟁력이 된다. 잘못된 상식으로 아이의 미래를 망치는 엄마가 되지 않으려면 아이에게 풍부한 경험과 다양한 관심을 주제로 토론하고, 아이들이 직접 판단하고 실행할 기회를 많이 만들어 주어야 한다. 우리 아이들이 우리나라의 미래라는 생각으로 부모들이 진지하게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