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하는 부모가 아이의 십대를 살린다
마이크 리에라 지음, 이명혜 옮김, 최성애 감수 / 더퀘스트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십대들.

십대 아이들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가장 중요한 청소년 시기의 아이들이 왜 이렇게 입에 오르내리며, 도대체 어떤 모습을 하고 있기에 위험하다고 하는걸까?

그들과 생활하는게 어떤건지 키워보지 않은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물론 십대 아이들이 전부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이 혼란스럽고 자신도 감당하기 어려운 시기를 보내기도 한다. 학자들에 의하면 십대 아이들의 그런 현상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조용히 넘어가는 아이들이 이상한 거라는 얘기를 하니 부모가 어디까지 마음을 비워야 하는지 생각하게 된다.

 

가장 민감한 나이의 십대 아이들과 함께 생활한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그동안 아이를 키우는 일이 힘든 일이라고 한다면 십대 아이들을 키우는건 미쳐버리는 일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그만큼 십대 아이들을 다루기가 어렵다라는 얘기다.

나 역시도 십대 아이를 키우고 있지만, 수도 없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아이의 마음을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한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너무나 궁금한 나머지 인생 선배들에게 조언을 듣기도 하고, 인터넷에서 십대 아이들에 대해서 찾아보기도 했었다. 하지만, 모든 곳에서 제시해 주는 정답은 부모가 이해하고, 그냥 그대로 아이를 지켜보아야 한다는 것 밖에는 없었다.

 

요즘은 사춘기 아이들에 대한 책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보다는 함께 공감하고, 아이를 이해할 수 있는 폭이 많이 넓어졌다. 어떻게 하면 아이와 친하게 지낼 수 있고, 아이와의 교감을 통해 부모가 해야 할 일을 알게 되기도 했다. 십대 아이들은 부모에게 지려고 하지 않기 때문에 같이 붙으면 결국엔 서로에게 갈등만 남게 된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아이들이 청소년기에 접어들면 더 이상 부모의 말을 듣지도 않고 부모의 조언을 간절히 원하지도 않는다. 아이에게 하지 말라고 하면 아이들은 부모가 안보이는 곳에서 하지 말라는 일을 하게 되고, 엄격한 부모와는 단절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부모가 아이와 함께 살면서 눈에 띄지 않게 도와줄 수 있는 동안에는 십대가 마음껏 실패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상책이다. 아이는 부모라는 울타리 안에 머물면서 인생의 시련을 헤쳐나가는 데 필요한 경험을 쌓는다. 부모의 조용한 믿음은 아이 스스로에게 부모와 자식 관계를 단단히 하는 역할을 한다. 부모에게 무조건 복종하기 보다는 아이와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하게 된다면 아이를 조금 더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처음에는 이게 참 어려운 부분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결국엔 내 행동이 너무 잘한걸 알게 된다. 진정으로 내 아이가 부모와 친하게 지냈으면 한다면 부모는 아이를 이해하려고 하고, 너무 많은 간섭을 하지 말아야 한다. 때로는 아이를 인정해 주면서 존중해 줄 때 아이는 부모의 마음을 알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