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아 시가 되라 - 달털주 샘과 아이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詩 수업 이야기
주상태 지음 / 리더스가이드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시'라면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시를 읽는 것은 좋아하지만 막상 쓰려고 보면 어떻게 써야 하는지 막막하기만 하다.

중학생인 우리 큰아이도 책은 좋아서 하루 종일이라도 보지만 시집은 재미 없다면서 쳐다 보지도 않는다.

시를 읽는 것도 필요하다는 생각에 언젠가 한번 도서관에서 학교 필독서로 나와 있는 시집을 빌려다가 주었는데 결국 이 책은 거들떠 보지도 않은채 반납했던 적이 있다.

 


이 책은 국어 선생님인 저자가 아이들과 함께 수업시간에 시를 쓴 것을 한권의 책으로 만든 것이다.

나 역시도 시를 어려워하는 우리 아이에게 주기 위해 이 책을 준비하게 되었다.

시를 처음 접하는 아이들에게 시 창작은 참으로 어려운 수업이었다.

하지만, 이런 아이들에게 시가 어렵지 않다는 걸 알려주기 위해 학교 행사 사진을 시작으로 시를 쓰게 한다.

사진을 보고서 시를 쓰게 한 저자의 발상이 너무나 멋지다.

머릿 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막연히 시로 표현하려면 힘들지만, 사진을 보고서 시를 쓴다는 것은 어쩌면 더 쉽게 다가갈 수도 있으니 말이다.

아이들의 생각 속에서 사진을 보고 느낀 것을 시어로 표현하면서 아이들의 생각을 그대로 드러내주고, 그 속에서 시의 느낌을 찾기도 하며 자유롭게 표현하기도 한다.

똑같은 사진을 보고 전혀 다르게 표현된 아이들을 시들을 보면서 재미있다는 생각을 하였다.

쓰는 것이 귀찮아 단 몇줄에 지나지 않는 시들도 있었지만, 장황하고 화려한 시들도 있었다.

아이들도 처음엔 재미없게 시작을 했지만, 어느새 자기 마음을 사진 속에 담아 표현해 주고 있었다.

 

 

 

중간 중간에 닭털주 노트라고 해서 선생님과 아이들의 대화 내용과 선생님의 생각이 들어간 부분은 수필을 읽는 것 같았다.

시 속에 들어간 수필은 나름 신선하기도 했다.

단지 다른 시집처럼 시만 나와 있었다면 보통의 시집이라 생각해서 식상했을 지도 모른다.

유명한 시인이 쓴 시집도 아니고, 청소년기 아이들이 쓴 시니 무슨 재미가 얼마나 있겠는가...

하지만, 이 속에서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을 살짝 들여다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저자는 아이들에게 풍경이 담긴 사진을 작은 카드로 만들어 선물하기도 하는 멋쟁이 선생님이시다.

어느 덧 사진찍는게 취미가 되어 버린 선생님에겐 그것이 행복의 일부분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선생님이 선물한 사진은 아이들에게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카드가 되고, 그 속에서 행복감을 느끼기도 한다.

시를 쉽게 접하기 위해 시작한 저자의 사진과 시의 만남

사진과 시를 통해 아이들은 더 감성적이고, 이젠 사진을 보면서 자연스레 시를 생각하게 되는 것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