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정을 삼키는 아이 ㅣ 한울림 그림책 컬렉션
사사프라스 드 브라윈 지음, 라미파 옮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25년 10월
평점 :

도서를 무상으로 지원받아 개인적인 주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부글이는 싫으면 싫다고 거침없이 말하고, 화가 나면 시원하게 소리를 지은다. 하지만 나는 싫다고 말하는 것이 어렵다. 나는 착한 아이이기 때문이다.
- 감정을 삼키는 아이 중에서
책 속 주인공 아이의 독백은 마음을 울렸다.
내면 깊숙하게 자리한 '착한 아이'가 느껴지는 듯했다.
동시에 나 스스로가 알게 모르게 내 아이에게 강요했던 '착한 아이'의 그림자를 직면하게 했다.
5남매 중 넷째였던 나는 약삭빠른 아이였다.
눈치를 보면서도 할 말은 다 하고 살았다.
그러나 아이는 나에게 짓눌려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하는 아이였음을 고백한다.
나의 기준으로 판단하고 해석하여 아이를 다그칠 때면 아니는 억울한 듯 울음을 터뜨리곤 했다.
어리석었던 나는 아이가 왜 저러는지 모르겠다며 아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었다.
<감정을 삼키는 아이>그림책은 내 아이가 지금에서야 왜 그렇게 억울하듯이 울기만 하고 이야기를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지 그 이유에 대해서 마주하게 했다.
아이가 삼켜야 했던 수많은 감정들이 나의 무심함과 부족함 때문이었음을 직시하게 했다.
'착한 아이'가 당연하다는 프레임에 갇혀 '착한 아이'이기를 바랐던 나의 바람으로 내 아이는 '나다움'을 잃어갔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모습이 그것이 아님을 알아차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답을 찾는 과정에서 코치가 되었던 것 같다.
수많은 노력의 시간이 지나서 코치가 되어 아이의 이야기를 들으려고 했던 노력으로 많은 부분이 변화했다고 자부한다.
하지만 가끔 나도 모르게 과거의 모습이 불쑥 튀어나와 아이를 다그치는 일이 있다.
이러한 깊이 박힌 나의 무의식의 변화를 위해 오늘도 노력하고 있다.
나의 성장 과정에서 직면했던 '착한 아이 콤플렉스'와 그로 인해 파생된 아이와의 소통 문제에 대한 더욱 명확한 해담과 방향성을 <감정을 삼키는 아이>그림책을 통해 찾아갈 수 있었다.

책 속의 늑대 부글이는 아이가 숨긴 감정의 실체이다.
아이가 싫다고 말하지 못하고, 화를 내지 못할 때마다 점점 부풀어 오르는 늑대다.
우리는 감정에 대해서 배운 적이 없다.
배운 적이 없는 사람은 그것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
어깨너머로 배운 부모가 하는 방식을 따라 하는 것이 전부다.
그것이 잘못된 것이라 할지라도 그 방법밖에 없기에 어쩔 수 없이. 또는 나도 모르게 그런 방식을 하게 된다.
그러기에 감정은 배워야 한다.
코칭 과정에서 전문가가 되기 위해 빠질 수 없는 부분이 감정 공부다.
아이의 부글이를 기꺼이 마주하고 인정하기 위해서는 감정 공부가 필수다.
또한, 아이의 부글이를 마주하기 전에 해야 할 일이 있다.
바로 자신의 부글이를 먼저 마주해야 한다.
<감정을 삼키는 아이>그림책은 부모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준 그림책이다.
아이의 마음속 부글이를 외면하지 않고, 기꺼이 마주하며 건강한 방식으로 감정을 해소하는 방법을 찾아주는 것, 그것이 내가 아이에게 물려줄 수 있는 가장 값진 선물이다.
착한 아이라는 굴레에 갇히지 않고, 자기 마음속 깊은 곳의 부글이를 사랑하고 돌보며, 나다움을 펼쳐가는 아이가 되었으면 좋겠다.
<감정을 삼키는 아이>그림책을 통해 '착한 아이'를 바라는 모든 사람들이 틀에서 깨어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감정을삼키는아이 #한울림어린이 #사사프라스드브라윈 #부글이 #감정 #용기 #착한아이콤플렉스 #감정표현 #자기존중 #아이마음 #감정그림책 #창작그림책 #벨기에그림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