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계탕 ㅣ 웅진 모두의 그림책 71
권정민 지음 / 웅진주니어 / 2025년 3월
평점 :
<시계탕> 그림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두 아이의 엄마로서 매일매일이 '바쁘게' 느껴진다.
아침마다 시계를 보면서 '빨리빨리'를 외쳐대는 엄마의 마음과 그 마음을 받는 아이들의 불안과 압박이 그림책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 같다.
엄마가 시계로 변해버린 상황은 부풀 대로 부풀어서 터져버리기 직전의 풍선 같은 가족의 마음을 대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림책을 읽고,
아이들의 시간은 어떻게 가는지.
부모의 시간은 어떻게 가는지 서로 공유해 보고 싶다.
아이들과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 것이 좋을지.
시간에 우리는 얼마나 유연할 수 있을지.
우리가 함께하는 시간들이 얼마나 소중한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었다.
시계탕이 주는 따끈함과 편안함, 느긋함에서 오는
'휴식'의 느낌을 이어받아 잠시 멈추고 자신을 돌아보고 싶었다.
==========================
안락한 의자에 앉아있는 시계와 아이의 표정을 바라보았다.
시계의 표정은 시무룩한 느낌이었고, 아이의 표정을 조금 미소 짓고 있다고 느껴졌다.
면지를 지나 속표지를 펼치기 전에 이야기가 시작되고 있었다.
아이들과 엄마와 아이, 두 사람의 시간이 어떻게 흘러가는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시간을 이야기하며 재촉하는 엄마의 시간은 빠르게 느껴진다.
반면 큰 변화 없는 아이의 시간은 느리게 흘러가는 느낌이었다.
아이들은 순간을 즐기며 느리게 흘러가는 시간을 소중히 여기는 반면, 부모는 시간의 압박 속에서 급하게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아이들과 나누어 보았다.
엄마의 잔소리를 들으며 하루를 시작하는 아이의 모습은 여느 가정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독자의 입장으로 이 장면을 바라보니 여러 감정들이 올라왔다.
우리 가족의 아침이 평온하고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한참 애를 썼던 나의 모습이 떠오르기도 했다.
어느 날 아침 엄마가 시계로 변해버린다.
엄마가 시계로 변했는데도 느긋하게 밥 먹고 학교를 가는 평화로운 하루를 보내는 아이의 모습이 펼쳐진다.
아이는 엄마의 잔소리에서 해방되었다는 자유를 느끼는 듯했다.
그러나 엄마가 시계로 있는 시간이 길어지자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멈춰버린 엄마를 고치기 위해 모험을 떠난다.
엄마를 소중함을 깨닫고 노력하는 아이의 모습을 보며 성장하고 있는 아이를 느낄 수 있었다.
<시계탕>은 시간에 쫓기며 살아가는 어른들에게 '멈춤'이라는 빨간 신호등을 비춰주는 이야기라고 느껴졌다.
아이가 시계탕을 찾아 떠나는 여정에서는 '여유'를 가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었다.
"엄마도 가끔 고장이 납니다. 하지만 아무도 그 사실을 모르죠"
작가가 건네 말에 한참을 머물렀다.
매일 느끼는 압박감 속에서, 나 또한 가끔 고장 나고 있다는 사실을..
그렇게 내가 고장 나있던 시간들을 떠올려보는 시간이었다.
우리는 때때로 멈추고, 숨을 고르며, 서로를 이해하고 아끼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시계탕>을 통해 아이와 부모가 소중한 순간을 나누고, 서로를 이해하는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
#시계탕 #권정민 #웅진주니어 #어른그림책 #공감 #쉼 #휴식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개인적인 주관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