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물을 자르면 ㅣ 라임 그림 동화 39
디디에 레비 지음, 피에르 바케즈 그림, 이세진 옮김 / 라임 / 2024년 9월
평점 :
<그물을 자르면> 그림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
책표지를 보면서 킨츠기 그림책이 떠올랐다.
파란 바탕에 그물에서 물고기들의 해방되는 모습이 비슷한 느낌을 주어서 그랬던 것 같다.
랑데르노상은 처음 듣는 그림책상이다.
찾아보니 매년 프랑스 랑데르노에서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그림책을 수상하는 상이라고 한다.
그림책의 질, 내용, 예술적 표현 등을 평가 기준으로 선정한다는 이야기에 그림책을 꼭 보고 싶다는 마음이 강하게 들었다.
상어 올로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바닷속 풍경이 궁금했다.
===========================
<그물을 자르면> 그림책을 본 순간, <킨츠기> 그림책이 떠오른 이유는 뭘까?
화면을 채우고 있는 물고기들과 메조틴즈 기법의 판화로 이루어진 그림이라서 그런 느낌이 들었던 것 같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800만~1,4000만 톤에 달하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가고 있다.
<그물을 자르면>은 플라스틱으로 인해 고통받는 해양 생물들과 불법 어선들로 인해 멸종 위기종들의 목숨을 위협받고 있는 바다 환경의 현실을 전하고 있다.
판화 기법으로 이루어진 그림과, 애니메이션을 보는 것 같은 구도와 구성이 참으로 매력적인 그림책이다.
공구를 잡고 있는 올로의 모습이 너무 자연스러워 보인다.
'상어가 어떻게 가위를 잡을까?'
궁금했던 부분이 그림책에서 재미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좋았다.
가위를 가지고 해양 동물들을 구하러 다니는 올로의 활약은 아이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수조관에 갇힌 올로.
올로의 모습을 통해 수조관에 있는 해양 생물들을 보는 시선을 다시 재정립해 보는 시간이었다.
<그물을 자르면> 그림책은 해양 쓰레기와 불법 어업 등으로 위기에 처한 바다의 모습을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그림책이다.
그림책을 보면서 아이들과 함께 우리가 해야 할 작은 일들은 무엇이 있을까 고민해 보고 싶었다.
아이들과 그동안 환경에 대한 문제를 가지고 여러 책을 읽어보고 실천도 하고 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힘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하는지 아이들에게 알려주고 싶었다.
우리나라에서 해양 포유류를 지키기 위해서 서명운동 캠페인을 통해서 여러 사람들이 마음을 모으고 있는 이야기 등 관련해서 다양한 이야기들을 전달했다.
아이들 한 명의 행동이지만, 100명의 아이들이 하나의 실천을 하게 되고, 1000명의 아이들이 하나의 실천을 하게 되었을 때 어떤 힘을 발휘하게 되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 나눠보는 귀한 시간이었다.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c/o/comhsm/YwUuYH4CPLBCWoKi.jpeg)
#그물을자르면 #디디에레비 #라임 #플라스틱 #해양플라스틱 #불법어업 #환경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개인적인 주관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