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들어간다 우리민화 그림책
김인자 지음, 유영희 그림 / 단비어린이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복조리를 가득 담은 지게를 지고 가는 사람은 누구일까?


복조리는 무엇일까?


우리나라는 정월 초하루에 만들어 파는 조리가 특별히 조리를 가져다준다고 믿고 복조리를 사고파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복조리가 낯선지 아이들이 복조리를 자세히 바라본다. 



"복조리가 뭐예요?


조리는 도정이 잘 안된 곡식에서 돌과 나쁜 이물질을 거르는 도구다. 


돌을 고를 때 소복 소복 올라오는 곡식 모양처럼 목이 들어 완다는 소박한 소망이 담긴 뜻으로 풀이된다고 한다. 



책표지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풍습을 알 수 있고, 

복조리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아가는 시간이 되어서 좋았다. 






" 민화는 복을 짓고 복을 나누며, 내 이웃이 행복해지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그리는 그림"

휘촌 유영희



휘촌 유영희 작가는 다양한 민화 대회에서 수상한 작가이다. 



현대 민화를 그리는 작가로 전통에서 소재와 마음을 갖고 와 현대적 해석을 통해 행복이라는 마음을 평온을 선물하는 작가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복조리를 지게에 지고 가던 할아버지가 복조리 하나를 떨어트린다. 


떨어진 복조리를 발견한 엽전은 조리가 마음에 들어 조리 속에 들어간다. 


나비, 까치, 토끼 등 다양한 동물들이 조리 안으로 들어간다. 

조리 안은 조리 속에 들어온 이들이 주는 복으로 가득 채워진다. 







그림책을 읽는 동안 반복되는 구절로 음률을 만들어 노래하듯 읽게 된다. 


학교에서 풍물놀이를 했던 아이는 장단을 맞추며 읽기도 했다. 


조리에 들어가는 엽전과 동물들을 자세히 보면 모두 색이 없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복'이라는 것을 세상 만물이라고 생각하며 담아주고 싶은 작가님의 마음이었을까?


아이들에게 자신의 복조리가 있다면 무엇을 넣어주었으면 좋겠냐고 물었다. 


"토끼요."

"드론이요."


각자 평소에 받고 싶었던 물건을 서슴없이 이야기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복'은 일 년에 한 번 받을 수 있는 거라는데?


우리의 전통 풍습을 가지고 와 재미있는 상상으로 풀어낸 <복 들어간다> 그림책은 새해 아이들과 함께 나누면 정말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비어린이 #도서출판 #가치창조 #단비 #복들어간다 #김인자 #유영희 #민화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