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나는 별이 될 거예요! 국민서관 그림동화 282
크리스틴 나우만 빌맹 지음, 시빌 들라크루아 그림, 김이슬 옮김 / 국민서관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투박해 보이는 배경 위로 노란 빛깔로 쓰인 제목과 아이의 복장이 빛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빛나는 별이 될 거라는 제목을 보고 별이 되는 꿈을 가지고 있는 아이의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거꾸로 물구나무를 선채로 환하게 웃고 있는 아이의 모습을 보면 함께 미소 짓게 된다.

두 남녀가 밤하늘을 바라보고 있는 흑백의 면지는 추억의 한 장면 같다.배가 볼록한 것을 보니 임신한 여자가 배에 손을 올려두는 모습을 보니 아이가 뱃속에 있을 때 아이와 교감했던 일이 생각이 났다.
저자인 크리스틴 나우만 빌맹은 언어 치료사이다. 어린이들을 위해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그림 작가인 시빌 들라크루아는 주로 연필과 색연필을 써서 작업을 한다. 작가의 그림에서는 따뜻하면서도 서정적인 분위기가 많이 느껴져 아이들과 함께 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반짝인다는 의미의 빛나라고 생각했던 <빛나는 별이 될 거예요!> 제목이었다.주인공 이름 빛나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빛나가 별이 되고 싶어 하는 건가?' 어떤 의미의 빛나는 별 인지 궁금했다.

빛나네 가족은 빛나가 나중에 무엇이 될지 잘 안다며 자신했다.
갓 태어난 아이의 미래를 어떻게 자신하는 걸까?
책의 원서가 궁금해지는 부분이었다.

빛나 주변의 어른들은 빛나가 자신을 닮아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분야를 잘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빛나는 어른들의 생각과 달리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그림책을 읽어나가면서 왜 어른들이 빛나의 미래를 자신 있게 안다고 했는지 엿볼 수 있는 부분들이었다.

너무 사랑스러운 빛나가 자신을 닮기를 바라는 마음이었을까?
부모들이 자신의 좋은 부분을 아이들이 닮기를 바라는 것처럼 말이다.


자신의 생각만 강요하고 아이에게 묻지 않는 어른들의 모습을 그림책에서는 꼬집어 주고 있다. 부모가 바라는 것이 아닌 아이가 원하는 것을 물어보고 들어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임을 깨닫는다.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 하는지 고민하던 때가 있었다.
그러다가 문득 깨닫게 되었다.
아이는 키우는 것이 아니다.
아이는 알아서 자란다.
부모는 자라는 아이의 옆에서 격려하고 지지하고 아이가 도움을 요청할 때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조언하고 협력해 주는 존재다.

아이 스스로를 하나의 인격으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야 아이가 올바르게 자랄 수 있다.

<빛나는 별이 될 거예요!> 그림책을 읽으면서 아이들을 관찰하고, 아이들에게 물으며 아이의 꿈을 스스로 찾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응원해 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빛나가 스스로 빛나는 별이 되는 방법은 빛나의 마음속에 있는 진짜 별을 찾는 것이었다는 것을 기억하며, 아이가 스스로 빛날 수 있도록 지켜봐 주는 부모가 되고 싶다.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컬처블룸리뷰단 #도서무상지원 #빛나는별이될거예요 #크리스틴나우만빌맹 #국민서관 #꿈 #가족 #응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