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소 이발소 ㅣ 미운오리 그림동화 15
야마다 마치 지음, 가와무라 후유미 그림, 봉봉 옮김 / 미운오리새끼 / 2024년 6월
평점 :
<채소 이발소> 그림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
그림책은 정말 멋진 선생님이라고 생각한다.
편식하던 아이들이 그림책을 읽고 나면 편식이 줄곤 한다.
아이가 밥을 먹다가 읽었던 그림책 이야기를 하면서 채소를 먹기도 하는 모습을 보여서 뿌듯하다.
무와 당근을 편식하는 아이들과 함께 읽고 채소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이 많아지기를 바란다.
다양한 채소로 다채로워진 식탁에서 편식쟁이가 사라지는 마법을 기대해 본다.
채소 이발소 제목에 채소가 한가득 담겨 있다.
문은 황토색으로 채소가 자라는 토양이 떠오른다.
싸인볼 색도 채소의 대표인 초록 계열로 꾸며져 있다.
채소가 책표지 가득이다.
채소를 대표하는 초록색 가득한 바탕색에 여러 가지 모양의 싸인볼이 나열되어 있는 면지는 보는 재미가 있다. 뱅글뱅글 돌아가는 느낌이 나는 싸인볼 그림을 따라 그리거나 자신만의 싸인볼을 만들어보는 활동도 재미있을 것 같다.
첫 번째 손님이 등장하지만, 뒤통수에 머리만 살짝 보일 뿐이다.누굴까?
아이들과 함께 살펴보면서 첫 번째 손님의 정체를 맞추어본다.
다양한 채소 손님들의 꼴이 말이 아니다.예쁘게 다듬어진 상품으로 나온 채소들을 자주 보았던 아이들은 어떤 채소인지 맞추기가 쉽지 않다.
농장에서 길러진 채소들은 원래 이런 모양이라고 설명해 주니 신기해하기도 한다.
감 씨의 방문으로 채소 이발소는 과일이 방문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과일과 채소 중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있는지 아이들과 함께 찾아보았다.
토마토를 과일로 알고 있는 아이들이 예상보다 많았다.
딸기, 수박, 참외도 과일이 아닌 채소이다.
이렇게 헷갈리는 이유는 식물학적인 기준, 농학적인 기준, 요리적인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을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요리적인 기준으로의 과일은 단맛이 나는 열매고, 채소는 쓴맛이나 산뜻한 맛이 나는 식물이다.
식재료로 쓰이는 과일과 채소를 요리적인 기준으로 많이 알고 있기에 헷갈리기 쉽다.
이발소 손님 중 가장 맞추기 어려웠던 손님이다.누굴까?
아이들과 함께 열심히 유추해 보았다.
작년에 주말농장에서 직접 키워보았던 작물이었지만, 맞추는 데 오래 걸렸다.
책을 읽고 시장에 가서 직접 채소들을 구입하고 이발소 놀이를 해봐도 좋을 것 같다.
뒷면에는 채소 이발소에 들어가지 못한 감이 등장한다. 후속 작품의 예고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에게 그림을 살피며 다음 작품이 나온다면 책 제목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았다. '과일 이발소', '과일 미용실' 등 그림과 연관 지은 후속 작품의 제목을 상상해 보는 시간도 가졌다.
이발소에 들른 채소들의 변신한 모습도 보고, 다양한 채소들을 알 수 있는 재미있는 책으로 유아들과 재미있게 읽기 좋은 책이다.
할머니 댁에 가면 채소를 직접 뽑아서 아이들과 채소 이발소 놀이를 해봐야겠다.
이발소에 방문하는 채소들이 누구인지 퀴즈처럼 맞추는 활동이 가장 재미있었다는 아이들의 소감을 들으며, 이번 주에는 아이들과 시장에 방문하여 다듬어지지 않은 채소들을 만나보기로 했다.
#채소이발소 #야마다마치 #가와무라후유미 #봉봉 #미운오리새끼 #채소 #편식 #미용실 #이발소 #도서무상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