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늦게 뜨는 아침 베스트 세계 걸작 그림책 43
필립 C. 스테드 지음, 에린 E. 스테드 그림, 강무홍 옮김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모스 할아버지가 아픈 날>로 칼데콧상을 수상한 필립 C.스테드와 에린 E. 스테드 부부의 신작 그림책이 나왔다.

책표지를 살펴보며 푸르스름한 배경 사이에 흰색은 별 같다.

아직 해가 뜨지 않은 새벽의 느낌이 몽환적이다. 등장하는 세 동물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닭과 조랑말의 시선은 무언가를 바라보고 있는 듯이 느껴진다. 무엇을 기다리는 걸까? 표정을 보면 담담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반면 젖소의 시선은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고 있다. 귀찮아 보이기도 하고, 체념한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속표지의 시무룩한 표정의 수탉의 시선과 표정이 무거운 느낌을 준다.





해가 뜨는 아침을 기다리는 노새와 젖소와 조랑말이다.

그들이 해가 뜨기를 기다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아침밥을 주는 농부 아주머니가 나오지 않을까 봐 걱정이 된 노새와 젖소와 조랑말은 올빼미의 조언으로 해를 깨우러 간다. 농장 밖으로 한 번도 나가본 적 없는 노새, 젖소, 조랑말은 자신들이 낼 수 있는 최대의 용기를 내어 모험을 떠난다.



작가는 왜 세상 끝이라는 표현을 했을까?

끝이 새로운 시작이라는 의미를 담고 싶었던 걸까?

책을 보면서 다양한 의문이 들었다.

책은 노새와 젖소와 조랑말의 여정이 담겨 있다. 하지만 책 표지에 노새는 나오지 않는다.

작가는 중요한 인물을 왜 책표지에 넣지 않았을까?

그것이 정말 궁금했다.






책을 읽고 나서 농부 아주머니의 꿈이 나오는 장면을 보면서 노새는 꿈속에 아주머니가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동물들에게 먹이는 삶을 위한 꼭 필요한 것이기에 목숨이 걸린 일이기도 했다. 노새와 젖소와 조랑말에게 농부 아주머니는 엄마 같은 존재 일 것이다. 어린아이들이 살아남기 위해 부모에게 의존한다. 동물들도 매일 같이 오던 존재가 오지 않을 때 목숨의 위협을 느끼지 않았을까?


죽어가는 사람들은 주저하면서 하지 못했던 자신이 하고 싶은 일들을 해나가고 싶어 한다. 과장된 해석 일지 모르지만, 먹이를 먹지 못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은 동물들을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원동력으로 용기를 얻어 모험을 시작했다.

농장이라는 테두리 안에 살아가고 있는 동물들의 낯선 탐험을 통해 농부 아주머니는 자신의 무의식에 숨겨둔 자신이 하고 싶었던 행동을 꿈속에서 용기를 내어 도전해 보았던 것은 것은 아니었을까 싶었다.


그림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지금'에 집중하는 느낌이 든다. 겁이 나서 눈을 감고 귀를 기울이는 노새와 젖소와 조랑말이 듣는 소리는 그 시간 속에 온전히 집중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아이들과 눈을 잠시 눈을 감고 '지금'에 집중해 본다.

조용한 방안은 시간이 갈수록 더욱 고요해지면서 작은 소음들을 들을 수 있게 한다.

꼼지락거리는 아이의 발가락이 이불을 스치는 소리, 아이들의 숨소리 등 평소에 듣지 못했던 것들을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해가 늦게 뜨는 아침> 그림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여운이 남는다. 새벽의 푸르스름한 느낌과 청량하면서도 고요하고, 편안한 느낌은 명상을 하는 느낌과 비슷하다.


삶을 살아가면서 종종 떠오를 장면이 담겨 있는 그림책이었다.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컬처블룸리뷰단 #주니어RHK #필립C스테드 #해가늦게뜨는아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