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와 오상(仁, 義, 禮, 智, 信)을 논하다 - 기본이 잘되어야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
허종준 지음 / 지식과감성#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논어와 오상을 논하다를 읽고서···.

 

허종준 저 논어와 오상을 논하다는 유교적 가치의 핵심인 논어와 인간의 기본 덕목인 오상(五常: ····)’을 중심으로 고전을 현대적 시각에서 해석해낸 철학 교양서이다. 이 책의 가장 큰 서술적 특징은 고전을 일상어로 해석하고, 이를 통해 독자가 고전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다. 저자는 고전 문장을 단순히 번역하거나 해설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대 사회의 갈등과 윤리적 문제에 연결하여 풀어낸다. 그로 인해 책은 고전이 아닌,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자신의 이야기처럼 읽힌다.

 

책은 총 여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자와 논어 배우고 익힘(학문) 인간의 기본 덕목 오상(인의예지신) 군자란 누구인가 나라를 다스리는 일(정치) 젊은이들에게 하고 싶은 말과 바라는 자세 등으로 주제를 나누었다. 각 편은 주제별로 공자의 말씀을 중심에 두되, 해당 주제에 유사한 고전 구절을 함께 인용함으로써 이해를 돕는다. 특히 논어의 특정 주제를 다룰 때, 맹자, 순자, 그리고 당 태종과 정관의 치세를 기록한 정관정요에서 유사하거나 보완적인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하는 방식은 이 책의 큰 장점이다. 독자가 논어를 보다 입체적이고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공자께서는 공손함(), 너그러움(), 믿음직스러움(), 총명함(), 은혜로움()을 실천하는 것이 인()이라 하셨다. , 공손하면 업신여김을 받지 않고, 너그러우면 많은 사람이 따르고, 믿음직스러우면 사람들이 신임하게 되고, 총명하면 공을 세우게 되고, 은혜로우면 사람들을 부릴 수 있게 된다."라고 하셨다. 본문 중에서 65>

 

교훈적으로는 인간됨의 본질을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깊은 울림을 준다. 저자는 인간이 실수를 하고 욕망에 흔들릴 수밖에 없는 존재임을 인정하면서도, 그런 인간이 지향해야 할 도덕적 태도와 삶의 방향성을 오상을 통해 제시한다. 특히 ()’의 장에서는 신뢰가 무너진 사회에서 개인이 지녀야 할 언행의 일관성과 약속의 무게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덕목은 타인에게 강요되어야 할 윤리가 아니라, 스스로 반복하고 실천하며 길러야 할 삶의 습관임을 강조한다.

 

이 책이 인상적인 이유는 도덕적 메시지를 전달하면서도 독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서술 방식에 있다. 저자는 지나친 이상주의에 머물지 않고, 현실 속에서 고전을 어떻게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을지를 보여준다. 고전이 일상의 윤리이자 실용적 지혜로 다가오게 만드는 저자의 필력은 돋보인다.

 

논어와 오상을 논하다는 동양 고전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에게도 쉽게 다가오는 책이다. 고전 속 윤리를 삶의 방향으로 삼고 싶은 이들, 또는 흔들리는 시대 속에서 뿌리를 찾고자 하는 독자에게 깊은 울림을 줄 수 있다. 특히 논어와 더불어 맹자, 순자, 정관정요의 구절들을 함께 읽으며 사유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이들에게 권할 만한 책이다. 고전의 언어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자신을 비추는, 차분하면서도 깊이 있는 안내서이다.

 

#지식과감성 #논어와오상을논하다 #허종준 #논어 #맹자 #순자 #정관정요 #군자 #학습 #인의예지신 #정치 #무농 #무농의꿈 #나무나루주인 #감사한삶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