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의 경영학 - 불황을 돌파하는 사장은 무엇이 다른가
야스다 다카오 지음, 노경아 옮김 / 리더스북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 《운의 경영학을 읽고서···.

 

운의 경영학은 운을 단순한 우연이 아닌, 경영의 핵심 자산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제시한다. 저자 야스다 다카오는 오랜 기업 경영과 사업 추진 경험을 바탕으로 운을 경영하는 능력에 대해서 자신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이 책은 경영자의 직관, 인간관계, 타이밍, 감 같은 비가시적 요소들이 어떻게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는지를 구체적으로 풀어낸다.

 

저자는 젊은 시절의 방황과 시행착오를 통해 삶을 배우고, 그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경영 철학을 확립해 나간다. 운을 끌어들이기 위한 태도와 환경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하며, 겸손, 감사, 신뢰, 실패를 포용하는 자세, 긍정의 언어 습관, 작은 행동의 반복 등 일상의 자세가 운을 바꾸는 토대가 된다고 강조한다. 또한 자신의 사업 추진 사례를 통해, 운이란 도전과 강력한 실천력 속에서 현실화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운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메시지는 이 책 전반을 관통하는 핵심이다. 단순히 운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운을 부르는 실천이 필요하다는 저자의 통찰은 독자에게 삶과 경영의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독재는 조직을 쇠퇴와 멸망으로 이끈다. 독재는 부하 직원에게서 권한을 빼앗고 맹종을 강요해 결국 창의적 능력을 말살한다." 본문 중에서 218, 219>

 

이 책의 특징은 생생한 사례 중심의 설명이다. 성공한 사업가들의 습관, 위기를 반전시킨 운의 작동 방식, 운이 흐르는 조직문화의 특징 등이 풍부하게 제시된다. 특히 저자는 운의 3대 조건으로 공격’, ‘도전’, ‘낙관주의를 꼽는다. 두려움을 넘어서 능동적으로 움직일 때 운은 따라온다는 것이다. 이는 경영자뿐 아니라 조직 구성원 모두에게 필요한 자세다.

 

직원의 행복이 곧 경영자의 행복이라는 저자의 철학도 인상적이다. 사람 중심의 경영, 긍정 에너지의 순환, 관계의 질이 결국 기업의 운을 결정짓는다고 강조한다. 책의 마지막에는 사욕을 버리고 공익을 우선한다멸사봉공(滅私奉公)’의 정신으로 마무리되며, 공공성과 지속 가능한 경영에 대한 저자의 다짐을 전한다.

 

또한 부록에는 저자의 기업이념집 원류가 수록되어 있어, 독자에게 더욱 깊은 울림을 전한다. 그중 경영이념 제1조인 높은 뜻과 도덕에 기반해 사욕 없이 진실하고 정직하게 장사에 전념할 것이라는 문장은 특히 인상적이다. 이념집에는 직원의 마음가짐, 행동 규범, 관리 철칙이 자세히 담겨 있으며, 상사나 부하의 마음가짐을 포함한 내용들은 사업자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에게도 조직 경영과 삶의 태도에 대해 많은 통찰을 준다.

 

저자는 숫자와 성과만을 좇는 경영에서 벗어나, 이제는 운의 흐름을 감지하고 다듬는 감각이 필요한 시대라고 역설한다. 운의 경영학은 경영자와 사업자에게 내면의 방향성과 조직의 질적 전환을 이끄는 통찰을 제공한다. 사업자는 이 책을 통해 조직의 분위기를 바꾸고, 자신과 직원 모두에게 긍정적인 운이 흐르도록 만드는 실천적 감각을 익힐 수 있다. 결과보다 과정과 태도를 중시하며, 사람 중심의 경영을 지향하는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책이다. 경영자뿐만 아니라 삶과 일의 조화를 고민하는 모든 이들에게 추천할 만한 책이다.

 

#웅진지식하우스 #운의경영학 #야스다다카오 #리더스북 #성공운 #운의통제법 #덕을겸비한리더십 #경영철학 #결단력과추진력 #원류 #노경아 #무농 #무농의꿈#나무나루주인 #나무나루

@woongjin_reader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