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업 Science Up : 남극과 북극 아이세움 만화 백과 6
곰돌이 co.달콤팩토리 글, 박순구.김기수 그림, 김동희 외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남극에 사는 황제펭귄이 추위를 더 잘견딜까?
아님 북극에 사는 북극곰이 추위를 더 잘 견딜까?
정말 요런 것은 상상도 못 했었는데 황제펭귄과 북극곰이 서로 추위왕이라고

우기는 가운데 남극과 북극의 다양한 지식속으로 흠뻑 빠져들게 된다.

 

엄마 어릴적엔 정말 말로 안되게 남극은 완전히 더운 열대지방이라고 우긴 친구들도

있었다고 말해주니까 그때는 이렇게 알기 쉽게 알려주는 책이 없었냐고 반문한다.

 

 

당연히 없었지..

태양고도란 지평면과 태양이 이루는각을 말하는데 이 각이 직각에 가까울 수록 열이 집중 되어

지표에 내리쬐는 양이 많아져 기온이 높아서 무섭고 반대로 각이 작을 수록 지표에

내리 쬐는 양이 적어서 기온이 낮아져 추우니까 태양고도가 매우 낮은 극지방은 여름에도

기온이 영상으로 오르는 일이 드문 일이니 남극과 북극은 당연히 추울 수 밖에...

 

그 시절 이렇게 흥미로운 과학지식이 담겨진 학습만화가 있었다면야..

그렇게 남극은 열대지방 북극은 추운지방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들이 있엇을까.. ㅋㅋ

지금 생각해도 피식 웃음이 나오는 대목이다.


 

펭귄은 깃털에 기름기가 있어서 잠수복 역할을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서..

아 ~ 하.. 글쿠나.. 하면서 그냥 피부인줄 알았더니.. 깃털이라니 너무 신기하고

깃털이 너무 미끈하다고 아이들이 너무 신기해한다.

 

그리고 이내 아빠에게 북극곰의 피부는 왜 검은 데 왜 그럴까요?? 하고 문제를 내어온다.

아빠가 피부가 햇볕에 죄 다 타서 그런거 아니냐고 말하니..

원래 피부는 검은거야..그래서 햇볕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추위를 잘 이겨낸다고

책 속에 있는 지식을 그대로 아빠에게 일러준다.

털은 백옥처럼 뽀얀데.. 피부가 검다니.... 요 것 또한 새롭게 알아가는 지식이다.

 

 

북극은 대륙보다는 바다가 압도적으로 많은 영역을 차지하고

남극은 대륙의 크기가 넓게 펼쳐져 있는데

가장 쉽게 남극인지 북극인지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바로 빙산이다.

남극의 빙산은 빙붕(내륙에서부터 흘러 내려온 빙하가 계속 바다로 뻗어 나가는 널따란 판모양)에서

조각이 떨어져 나가면서 남극 특유의 평평한 탁상형 빙산을 이루고 있지만

북극의 빙산은 빙하가 내륙에서 빙붕을 거치지 않고 곧장 바다로 흘러내려오면서

이리 저리 모양이 부딪혀서 많이 깎여 뽀족한 모양이 되는 것이다.

 

북극에 사는 동물과 남극에 사는 동물들도 알아볼 수가 있는데

사향소,순록,북극토끼,바다코끼리,북극여우,북극 제비갈매기 등이 어떻게 추위를

잘 견딜 수가 있는지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눈여겨 보게 된다.

북극에 토끼가 산다는 소리에 깜짝 놀란 둘째 녀석은

"춥지 않을까? 배고프지 않을까?" 하면서 노래까지 불러주신다.. ㅋ

카멜레온 같이 겨울에는 흰색으로 여름에는 흙과 바위와 같은 색으로 변해서 위장한다는 북극토끼
가늘고 긴 섬유질 솜털이 발달해서 같은 무게 양털보다 보온성이 여덟내나 높다는 사향소까지

어떻게 그 추운 북극에서 버틸 수 있는지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책 읽는 내내 황제펭귄은 뭐야? 그런게 따로 있나? 하는 의문을 갖던 둘째 녀석의

의문이 쏵 ~~ 풀리는 순간.. 임금펭귄과 황제펭귄을 너무 잘 비교해서 해서 설명해주고 있다.

심지어 부리모양은 임금펭귄이 더 가늘고 뺨이 더 붉고 목에서 등으로 이어지는 부분도 검다는 걸 알게 된다.


 

그 밖에 전투펭귄.턱끈펭귄,아델리펭귄,마카로니펭귄,바위뛰기펭귄까지

귀여운 펭귄 종류들 쭈욱... 살펴볼수가 있다.


 

남극과 북극에 대해 꼭 알아야할 지식들이 가득한 사이언스 업

당장 3학년 1학기 수업 시간부터 교과 연계와 읽으면 좋을 도서에 해당되니

학습에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남극과 북극에 대한 정의에서부터 시작해서 빙하의 구조와 종류, 남극과 북극의 생태계

극점을 정복한 탐험가들, 극지방의 연구와 자원등 남극과북극의 지식이 가득하니

책을 통해서 다채로운 체험을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