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자 초등 국어 3-1 - 2013년 완자 초등 국어 2013년-1
비유와상징 편집부 엮음 / 비상교육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2학년때도 국어 과목을 가장 어려워 했던 딸아이.

늘 올백을 맞아오기에 결과적으로 봤을때는 공부 잘하는 아이로 비춰질지도 모르지만.. 

시험을 보고 나면 엄마 국어는 너무 헷깔려서 정말 많이 틀린 것 같다.

이거 뭔지 좀 봐주세요 하면서 젤 먼저 기억 해 온 문제로 

교과서를 들추곤 했었다. 

 

그런 딸에게 국어에 날개를 달아주고 싶었다.

좀 더 자신있게 좀 더 혼동이 오지 않게 말이다.

자신이 택한 답이 헷깔리는 것이 아니라 확신이 들 수 있도록 말이다. 
 

 

그래서 관심있게 살펴보게 된 초등 완자 국어

서술형.논술형 대비 완자

그렇다 요즘은 국어도 서술형이 지배적인 추세라서

자신의 생각을 잘 끄집어내서 적을 수 있어야 하는 게 관건이다.

화자가 원하는 답을 비켜가지 않으면서 말이다.

 

예진복 완자

저 말이 무슨 말인고 했더니만..



 

바로 이렇게 1단원의 구성이 예습,진도,복습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나온 말이다.

 

 

단원열기를 통한 예습과 원리문제풀기로 진도를 나가고

교과서 핵심문제로 잡기와 교과서 족집게 특강으로 복습을 하고

서술형 , 논술형 + 단원평가를 통해서 총 정리를 한번 해 볼 수 있도록

한 단원씩 구성되어 있다.



 

역시 원리를 바로 잡아야지 개념을 익힐 수가 있는 법.

이 단원을 왜 배우는지 이 단원 원리를 꼼꼼히 밑줄에

별표까지 달아가며 설명해주고 있다.

완전 맘에 드는 부분이다.


 

 

찬찬히 문제를 본문을 읽으며 서술형 답을 달고 있는 아이 

평소 같았으면 이런 문제에서 꼭 핵심을 비켜나가고 엉뚱한 답을 달아서 

엄마의 속을 터지게 하던 아이인데 정답을 잘 추려내어 적는다. 
 

생각보다 3학년 국어는 어렵지 않네 하며 본문을 읽어가며

집중해서 풀어내는 모습이 이쁘다.



 

공부할 내용의 원리를 한번 읽고 시작해서 인지

이 정도 되면 문제가 헷깔린다는 둥... 투정이 나올 법도 한데

군소리 없이 자신만의 답을 적어내려간다.

 

 

 

3학년 때 국어가 더 어려우면 어쩌누? 하며

걱정하던 아이도 문제를 풀어보며 자신감이 배가 된다.

  

완자는 처음 접해보는데두 불구하고

이상하게 서술형. 논술형 문제에 거부감을 나타내지 않는다.

알고 봤더니. 서술형 논술형 문제가 단계별로 나오고 있어서

아이들이 거부감없이 잘 풀어낼 수 있도록 해두었다고 한다.

점차적으로 난이도가 높아져 감으로 미리 어려워하며 손 놓게 되는 경우가 없을 것 같다.



  

한 회당 공부계획표가 있고 붙임 딱지가 마련되어 있어서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완자 국어 ~

워낙 자기주도학습이 잘 이루어져 있는 딸아이로써는 붙임딱지는 좀 거추장 스럽다고 말한다.

 

 


 

알아서 스스로 정한 요일에 1회차씩 꾸준히 하기로

스스로 약속을 하며 이번 주 1회차를 재미나게 마쳐주는 아이

 

아무래도 자기주도학습 시스템

완자 국어와 3학년 국어를 멋지게 올백으로 수 놓을 수 있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