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숫자 사회 - 순 자산 10억이 목표가 된 사회는 어떻게 붕괴되는가
임의진 지음 / 웨일북 / 2023년 6월
평점 :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웨일북 출판사에서 출간한 '숫자 사회'입니다. 현대사회에서 행복의 척도는 '돈'을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갈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평등사회를 외치고 있지만 누가 더 비싼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지, 더 좋은 차를 타고 다니는지를 하나하나 따져 가면서 알게 모르게 차별을 받고 살아가는 것이죠. 자, 그렇다면 이렇게 돈의 숫자에만 집착하고 추앙하는 분위기는 어떻게 해서 생겨났고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는 걸까요? 이와 관련해서 이 책에서는 돈에 미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숫자에만 집착하는 숫자 사회 너머의 긍정적인 공동체로 나아가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숫자 사회'의 임의진 저자는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국제개발학을 공부하고 KOICA, UN 및 컨설팅 회사에서 여러 프로젝트를 맡아서 진행해 왔다고 하는데요, 이번에 출간한 책을 통해서 빈곤이나 불평등과 같은 문제들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보면서 긍정적으로 해결해나갈 수 있는 방법은 없을지에 대한 토론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책의 목차를 살펴보니, 숫자에만 집착하면서 만족할 줄 모르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에서부터 새로운 한국형 공동체라는 해법을 제시하고 있는 내용까지 차례대로 들려주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숫자 사회'에서는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제 연구결과를 보여주면서 소득이 높아질수록 행복도가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어느 지점에서부터는 돈이 더 많아지더라도 절대적인 행복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서 경제적 자유만을 추구하면서 맹목적으로 돈에만 집착하는 현대사회의 사람들이 얼마나 헛된 이상을 좇고 있는지 따끔한 일침을 날려주고 있습니다. 저도 나이가 들수록 결혼이나 부동산 자금 등에만 신경이 쏠리는 바람에 이런 기본적인 내용들을 간과하고 있어서 부끄럽게 느껴지는 내용이었네요.
물론, 우리나라에서 돈이라는 숫자에 집착하게 된 이유를 가볍게 볼 수만은 없습니다. 농경 중심 사회였던 과거에는 토지를 많이 소유한 자가 입신양명의 길을 통해서 보다 높은 지위를 누릴 수가 있었을 테고, 이는 현대에 와서도 방식만 달라졌을 뿐 여전히 숫자에 휘둘리는 사회를 만드는 배경이 되었을 겁니다. 이와 관련해서 '숫자 사회'에서는 한국형 성공 방정식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숫자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그 너머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어서 꽤나 흥미롭게 읽을만한 책이었습니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