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룡 도감 - 만약에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만약에 도감
두걸 딕슨 지음, 김해용 옮김 / 소미아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공룡도감

#맘수다

#책세상맘수다카페

#책리뷰

#소미아이



지금으로부터 6,600만 년 전,

거대한 운석이 지구와 충돌했고 그 영향으로 공룡은 멸종됐다고 해요

만약, 운석이 지구에 충돌하지 않았고 공룡이 멸종되지 않았다면,

그들은 어떤 모습으로 진화했을까요?

이 책은 만약에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신공룡도감 책입니다.


둘째아이가 공룡을 많이 좋아해요

공룡책을 여러권 읽고 재미있어 하길래 신공룡 도감 책을 권해봤어요

신공룡도감 책은 아직 아이가 읽고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눈으로 보면서 흥미롭게 공룡모습을 보는 듯 해요

신공룡 도감 책은 6,600만 년 전 거대한 공룡들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그 공룡은 어떻게 변했을까? 하는 질문에 답하는 책



이 책을 읽는 방법에 대해 설명되어있어요

서식지, 학명, 이름, 식성, 루트 책을 읽을때 살펴보면 좋을 듯 싶어요

아벨리사우로이데스 -백악기에 곤드와나에서 번성햇던 아벨리사우루스류가 살아남은 것으로

모습은 앞다리가 길쭉한 조상과 미슷하다.

타이타노사우루스 - 전체 길이가 18m 고개를 들었을 때 높이가 6m에 달하는 초식공룡


게스탈트 - 구북구의 공룡 중에서 게스탈트는 가장 특이한 생태를 보인다.

개미처럼 진사회성을을 발달시킨 공룡(여왕이 홀로 알을 낳도록 돕는 동물)

갑옷과 공룡 -옆구리에 뾰족한 가시가 나 있고 꼬리에 망치처럼 생긴 것이 붙어 있는 공룡

타란터의 조상은 백악기 후기부터 이 지역에 살면서

스텝의 발달에 맞춰 볏과의 식물을 먹을 수 있도록 이빨을 진화시켰다.

워터걸프 - 강의 식물을 먹는 동물 중에서도 큰 것이 워터걸프인데

몸길이 2.5m, 조상은 힙실로포돈이다.

공룡이 살고 있는 지리구, 환경에 대한 설명과 식성 이름 특징이 소개되어 있어서

도감책으로 읽으면서 새로운 동물의 모습을 관찰하는 게 흥미롭게 느껴집니다

그림이 굉장히 사실적이고 색다른 공룡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책 같아요




소미아이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무상 제공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