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영국은 잘나게 키우는 교육도 한다는 뜻으로 하신 말씀이죠. 영국과 독일의 교육은 학생에게 자유를 많이 주니. 그 속에서 진짜 될성부른 나무는 쭉쭉 뻗어나갑니다. 엘리트 교육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도 교육이 갖는 ‘자유‘가 의미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어요. - P98
선생님 말씀을 듣고, ‘내 입맛에 맞는 공부를 해도 된다‘라는안도감이 들었어요. 공부란 결국 호기심이 권하는 곳으로 뱃심을 가지고 다가가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자기가 정말좋아하는 과정을 파고드는 분들에게 응원이 될 것 같아요. - P98
그 대신 떨어지더라도 밑에 튼튼한 그물망이 있어야겠죠. 사회적 안전망이 만들어져서 성적이 미래를 좌우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 P98
"아빠." 하고 저를 부르며 앞으로 걸어 나오는 사건이 있어습니다. 화장실에 가야 한다니 어떡해요. 학생들에게 5분만달라고 양해를 구하고 아이를 안고 뛰었습니다. 그 학기 강의 평가에 학생들이 이렇게 적었더라고요. ‘마누라도 없냐? 애 보려면 집에 가라. - P60
흔히 우리는 ‘고독‘과 ‘외로움‘을 구분하지 못하고 ‘고독‘과 ‘고립‘을 혼동합니다. ‘고독‘이란 ‘자발적 홀로 있음‘에 가까운 것 같아요. 이 홀로는 세상과의 단절이 아니고요. 내가나와 온전히 함께하면서 내 안에 스며든 세상의 요소도 바라보도록 안내하지요. 혼자 있는 시간은 세상과 연결된 적극적 나의 존재를 깨달아가는 시간이 아닐까요? - P97
‘자발적 홀로 있음‘이라는 표현이 참 좋네요. 시인 황동규선생님은 그걸 ‘홀로움‘이라 부르셨죠. - P97
읽은 내용을 기억해서 베끼는 게 아니라, 읽으면서 생각하는 과정에서자기만의 문장이 탄생합니다. - P108
미국에 막 도착했을 때니까 영어가 서툴고 자신이 없었어요 피터가 자상하게 알려줬죠. 한 장짜리 숙제까지 다 읽어줬습니다. 그날 그 친구가 한 행동은 ‘너의 결정적 약점은 영어 실력이 아니라 결론을 이야기하는 데 너무 뜸을 들인다는 것이다. 과학적 글쓰기는 결론부터 써야 한다‘라는뜻이었습니다. - P111
피터에게 가장 먼저 배운 영어 표현이자 ‘삶의 수업‘이 ‘Younever know until you try"예요. "우리는 해보기 전에 절대알 수 없어"라면서 미국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정신이라 - P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