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하여
정혜신.진은영 지음 / 창비 / 2015년 4월
평점 :
아이를 잃는 고통은 인간이 겪을 수 있는 최악의 것이다. 그건 죽을 때까지 잊혀 지지 않는 지옥과 같은 고통으로 시간의 작용을 비켜 선 아픔이다.
세월호 사건이 일어났을 때 사람들은 그런 일이 나에게 일어난다면, 하고 가정하는 것만으로도 눈물이 나고 고통을 느꼈다. 아이를 잃은 당사자들은 그러한 상황에서 진상규명을 위해서 싸워야 했다. 국가가 나서서 그 일을 해주지 않을뿐더러 적대자처럼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 것이다. 게다가 동시대를 사는 일부 사람들은 그들의 고통에 소금을 뿌리고 침을 뱉었다. 선의를 가진 대다수의 사람들마저도 어떻게 해야 할 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서서히 그 사건을 잊었다. 1주기를 맞이하는 상황에서 그들은 슬픈 일이긴 하지만 더 이상 이야기 하는데 피로를 느낀다, 라는 말을 했다.
참을 수 없는, 치유되기 어려운 고통이라도 제대로 진상규명이 된다면 아이를 떠나보낼 수 있겠는데 그마저 안 되니 유가족의 가슴은 까맣게 타들어갔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가까이에서 그들과 함께 치유작업을 하는 이웃이 있다. 정혜신은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에 거주하면서 ‘이웃’의 이웃 치유자로 살아가고 있다. 이 책은 그와 시인으로 문학을 통해 사회적 실천을 이어오고 있는 진은영이 나눈 대화의 기록이다. 우리 같은 사람들이 상처 입은 자의 참된 이웃이요, 치유자가 될 수 있을까.
치유적 관점에서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진상규명이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는 ‘마음을 나누지 못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그들에게 ‘이제 정신 바짝 차려서 마음을 정리하고 빨리 나아야 한다’고 말한다면 오히려 상처가 된다. 마음껏 슬퍼해야 더 빨리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극심한 고통은 아픈 만큼 파괴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더욱 생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치유가 쉽지는 않을 것이다. 먼저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겠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과 하지 말아야 하는 일’을 잘 아는 것이 치유의 첫 단계다. 아무리 지독한 고통이라도 의미를 찾는다면 인간은 훨씬 더 잘 견딘다고 한다. 고통의 의미를 찾는 일은 철학이나 심리학의 영역이 아니다.
정혜신은 ‘일상’의 영역에서 치유가 다뤄져야 한다고 말한다. ‘유가족들은 지금 자기가 살던 세상이 모두 깨어진 거잖아요. 자식들을 기르면서 가족끼리 편안하고 행복하게 사는 것이 전부인 사람들이었는데, 이게 모조리 무너졌어요. 그러니까 이 세계에는 살 수가 없는 거죠. 그런데 이 사람들이 이웃 치유자들을 접하고 그들의 마음을 느끼면서 다른 세상으로 진입하는 거예요. 다른 가치와 관계가 만들어지는 거죠. 이 세계는 말할 수 없이 고통스럽고 그건 어떻게 해도 사라지지 않지만, 이 세계를 지탱할 수 있는 또 다른 세계가 생기기 때문에 계속 살아갈 수 있는 거죠. 그게 치유입니다. 그러려면 이런 재난을, 트라우마를 입었을 때 주변에 누가 있느냐가 무척 중요해요.’ 세계가 완전히 달라지는 것은 얼마나 고통스러운 일인가. 그러나 다시 살아가기 위해서 그 세계로 진입해 들어가야 한다. ‘이웃’에서는 상담은 물론 같이 밥을 먹고 뜨개질을 하며 아이들의 생일상을 차리고 아이들을 충분히 애도함으로 아이들을 천국으로 떠나 보낼 준비를 한다. 애도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으나 혼자의 힘으로는 넘어가기 힘든 부분이 있다. 사람들과 함께 해 나갈 때 치유의 힘이 생긴다. ‘모든 슬픔은 당신이 그것을 이야기로 만들거나 그것들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다면, 견뎌질 수 있다(이자크 디네센)’는 말은 관계 속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말로 들린다. 정혜신은 ‘모든 인간은 치유적 존재이고, 그것이 치유의 핵심이라고 믿습니다. 그래서 치유작업을 하는 동안 제가 하는 일은 란 건 결국 그 사람 안에 있는 치유적 요소들, 그 사람이 지닌 온전성, 건강성을 끊임없이 자극하고 스스로 느끼게 해주는 것일뿐’이라고 말한다.
이 모든 지옥 같은 고통과 치유의 불가능성, 국가의 무관심에도 불구하고 이 아비규환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에서 살 수 있게 되는 원천은 역시 ‘사랑’이다. 우리는 이 세상에 살면서 사랑을 실현할 수 있는가. 나의 구원을 위해서도 이 일은 분명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