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를 바꾼 와인 이야기 ㅣ 세계사를 바꾼 시리즈
나이토 히로후미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썼습니다-
와인은 하나의 역사다. 와인을 즐기는 나로서는 다양한 와인의 종류뿐만 아니라 역사에도 관심이 가기 마련인데 마침 [세계사를 바꾼 와인 이야기]를 접하면서 와인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는 뜻깊은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제는 동네 슈퍼에서, 마트에서, 편의점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신의 음료인 와인은 어떤 역사를 갖고 있을까?
와인의 역사는 발상지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 메소포타미아, 고대이집트, 조지아, 아르메니아 지역까지 언급되는 장대한 시간을 갖고 있다. 포도를 그냥 저절로 놔두면 자연스레 와인이 될 것 같지만 그럴 리 만무하고.... 그래서 와인이라는 것은 체계적인 지식과 축적된 경험의 다른 말이기도 한 것이다.
와인은 고급 음료라는 인식 덕에 옛날에는 지배층만 마셨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고대 그리스에서는 우리가 익히 아는 소크라테스, 플라톤도 즐겨마셨을 뿐만 아니라 평민들도 와인들을 자유로이 즐겼다고 한다. 평민 계급의 농민들이 자신의 땅에 포도를 심고 수확, 양조까지 했던 덕분이었다.
이렇게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와인을 앞에 두고 지적 대화를 즐겼다. 그것은 하나의 문화가 되었으며 오늘날 당연하게 여겨지는 민주 정치의 씨앗이라 할 수 있다.
한 가지 흥미로웠던 점은 얼핏 생각할 때 입맛이 로마인들보다 그리스인들이 더 세련되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지만, 와인에 있어서는 실상 그 반대였다는 것이다. 물론 그 당시 와인을 양조하는 기술과 환경 차도 있어서 그랬었겠지만,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와인에 물을 타셔 마셨던 반면(그 당시 풍습, 물 안 타면 야만인?!) 로마인들은 주로 원액 그대로 마시면서 와인을 즐기는 문화로 변모, 이에 로마인들의 고급스럽고 세련된 입맛에 맞춰 와인의 품질도 우수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고대 그리스, 로마 역사를 지나 이제 국가 개념이 생겨나고 지역명도 언급되면서 유명한 와인 이름들이 언급된다. 와인의 이름은 지역명을 따기도 하고 포도 품종을 나타내기도 한다.
독일은 맥주가 유명한 나라이지만, '리슬링'(포도품종을 의미)은 독일을 대표하는 유명한 와인이다. 기본적으로 독일은 한랭하고 일조량이 부족한 기후환경 때문에 리슬링을 수확했다 하면 당도가 낮고, 산미가 높은 맛이 나기 일쑤였다. 그래서 독일은 이 품종을 슈페틀레제 혹은 아우슬레제 (와인 양조방식 혹은 그렇게 생산된 와인을 나타냄)로 수확한다고 한다. 이는 각각 수확 시기를 늦추거나 초완숙 포도만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책을 보기 전에는 마시는 재미만 있었다면 이제는 알고 마시는 재미가 생겼다. 와인을 통해서 와인의 역사뿐만 아니라 세계의 역사도 간간이 살펴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