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맥주 이야기
무라카미 미쓰루 지음, 김수경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술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술을 좋아하고 술을 통해서 역사 이야기를 접하면 재밌겠다 싶어서 [세계사를 바꾼 맥주 이야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우리 삶에 빠져서는 안되는 술, 그중에서도 맥주를 일컬어 이 책의 저자는 지킬앤하이드 같은 존재라 말한다. 어떤 점에서?? 세계사적인 측면에 있어서 맥주의 양면적 기능을 살펴본다는 소재가 참으로 흥미로웠다.

맥주는 농도와 색깔, 발효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분류되는 모양인데, 그 용어를 자세하게는 잘 모르겠지만, 한 가지 인상적이었던 것은 우리 시대의 술이 스트레스와 갈증을 해소하는 청량음료로서 혹은 그 모든 것을 날려버리는 극적인 순간을 위한 그 무엇이라면, 그 옛날에 맥주는 마치 오늘날의 홍삼처럼 '힘을 불끈 나게 하는 음료'로서 여겨진 적이 있었다는 점이었다.

이런 맥주의 힘이 필요했던 것일까. 혹시 맨정신으론 안되었던 것이었을까. 자신이 펼친 95개 논제에 대한 심문이 이루어지고 그에 대한 반박을 해야 했던 1521년 4월 17일, 마르틴 루터가 의장을 향해 나가기 전 단숨에 들이마신 것은 바로 맥주였다.

이 책의 저자는 그에 대한 심문이 열린 보름스 제국회의에서 마르틴 루터가 멋지게 자기 변론을 해낼 수 있었던 그 원동력을 맥주로 보는듯했다.

마르틴 루터와 인쇄기가 없었다면 나는 오늘도 면죄부를 사러 교회를 다녀오지 않았을까. 독일에는 이런 훌륭한 사상가도 있는 반면, 맥주를 '하이드'로 만들어버린 몹쓸 인간도 있으니... 그 인물이 바로 아돌프 히틀러다.

아돌프 히틀러를 중심으로 후에 나치스의 시발점이자 기폭제가 된 집회가 자주 열렸던 곳은 00켈러, 00하우스와 같은 명칭의 비어 홀, 즉 맥주집에서였다. 술이 있는 곳에는 흥도 있고, 화도 있더라. 아돌프 히틀러는 맥줏집에서 폭동을 일으킨 전력이 있었고, 맥주를 수단으로 화합하며 자신의 세력을 조금씩 키워나갔을 것이다. 집회 규모를 벗어나 결국 독일 국민 손으로 그자를 뽑기에 이르렀으니...

이 밖에도 맥주에 관한 다양한 에피소드가 넘쳐난다. 세계사를 좀 색다르게 보고 싶다면?! 지금 바로! [세계사를 바꾼 맥주 이야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썼습니다-

#세계사를 바꾼 맥주 이야기 #사람과나무사이 #무라카미미쓰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