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기 싫어하는 초등생을 위한 공감 독서법 - MBTI, 에니어그램으로 아이의 속마음 파악하고 독서 방향 잡기 바른 교육 시리즈 23
진정용 지음 / 서사원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어나면서부터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거 같다. 독서를 좋아하는 아이, 싫어하는 아이. 이들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어떤 아이들은 책 읽기를 좋아하고, 어떤 아이들은 싫어하게 되는 그 메커니즘이 궁금했다. 이런 과정을 알아가다 보면,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를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만들 수 있을지 알게 되지 않을까?

독서든, 공부든, 학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공감이라고 생각한다. 이 공감은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어루만지고 느끼고 이해하는 감정일 수도 있고, 아이들이 책이라는 대상에서 전해지는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감정 일수 있다. 이러한 포괄적 개념의 공감은 전방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부모로부터 그냥 "책 읽어"라고 듣는 아이보다, 부모님이 같이 봐주거나 아빠가 동화를 읽어주는 아이들이 책 읽기를 더 좋아할 가능성이 크다. 책 읽기가 혼자서 감당해야 할 고역이 아닌, 부모님과의 따뜻한 놀이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을 책 읽기와 좀 더 친해지게 만드는 방법에는 위에서 언급한 것 말고도 아이 성향을 파악해서 독서법 플랜을 짜는 방법이 있다. 어른도 가끔 MBTI로 자기 성향을 알아보면서 자신을 더 잘 이해하려고 하지 않던가. [책 읽기 싫어하는 초등생을 위한 공감 독서법]에는 MBTI의 성향에 따른 아이들의 독서방법을 제시해놓았다.(감각형, 직관형, 사고형, 감정형, 판단형, 인식형 등)

책을 좋아하는 것만 골라주는 편향성을 물론 조심해야 되겠지만, 잘 흡수하고 받아들이는 영역은 더 발전시켜주고, 부족한 부분은 채워줄 수 있다는 점에서 아이 성향을 파악한 독서법은 효율적인 것 같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썼습니다 -

#책읽기싫어하는초등생을위한공감독서법 #진정용 #서사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