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쓸모 있는 음악책 - 내 삶을 최적화하는 상황별 음악 사용법
마르쿠스 헨리크 지음, 강희진 옮김 / 웨일북 / 2022년 2월
평점 :
음악전문가가 아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순 없지만 음악이 내 생활, 감정, 리듬 어딘가에 분명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안다. 긴장감을 누그러뜨리거나 나른할 때 혹은 빈 공간의 적막함을 채우고 싶을 때 느린 박자의 부드러운 재즈를 듣는다. 스트레스가 극심해서 뭔가 해소하고 싶은 날에는 어김없이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을 여러 연주자의 버전으로 듣는다. 계절이 겨울로 접어들면 재즈 캐럴과 라흐마니노프 협주곡 2,3번을 듣는다. 친구와 수다 떠는 것 마냥 '사람'과 함께하고 싶을 때는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를 듣는다. 일이 잘 풀리고 기분이 좋을 때는 베토벤의 협주곡 5번 '황제'를 듣는다. 이외에도 많은 음악을 듣지만, 내 정신과 신체와 관련하여 나도 모르게 꼭 찾게 되는 음악들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았다. 상황에 따라서 다른 곡의 선곡이지만, 이들 모두의 공통점은 들으면서 그리고 듣고 나면 (나의 어떤 욕구가 충족되는지) 기분이 한결 나아진다는 것이다. 이쯤 되면 음악이 '즐긴다'라는 행위를 넘어서 어떤 '치유'를 하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노래를 부르면
어떤 질병도 내쫓을 수 있다.
- 미겔 데 세르반테스 -
[쓸모 있는 음약 책]에서는 뇌, 감정, 변화, 사회경제적 가치, 일상이라는 다양한 영역에서 인간과 음악과의 관계를 고찰하고 있는데, 그중 음악을 천연 호르몬 치료제라고 본 저자의 논의에서 내가 음악을 어떻게 느끼는지, 음악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나는 주로 가사가 없는 음악을 듣는다. 클래식도 그러한 음악적 기능을 갖는지 모르겠으나 아무튼 자신에게 맞는 음악은 면역체계를 강화시키고, 긴장감을 완화시키며, 정신건강을 증진시킨다고 한다.
생각해 보니, 운동하는 사람들을 매체나 주위에서 보면 적막한 시공간 속에서 운동하는 법은 없었던 것 같다. 예전에 다녔던 짐은 대중가요 음악소리로 클럽을 방불케했으며, 요즘 집에서 운동하는 남편도 언제나 운동할 때면 무선이어폰을 귀에 장착한 채 음악 속에서 운동을 한다. 운동이 이루어지는 곳에 왜 음악은 존재하는 것일까.
바로 동기를 부여하는 소리의 힘 때문이었다. 음악이 힘을 북돋아주는 것은 물론, 떠나갈듯한 소리, 신나는 리듬은 운동하는 동안에는 잡념을 떨쳐버리고 운동에 집중할 수 있게 만드는데, 이러한 기능이 음악 안에 있었던 것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썼습니다 -
#쓸모있는음악책 #마르쿠스헨리크 #강희진옮김 #웨일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