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 떠나면 고맙다고 말하세요
켈리 함스 지음, 허선영 옮김 / 스몰빅아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

[남편이 떠나면 고맙다고 말하세요]

- 공감 안 가는 설정과 캐릭터 -

내가 왜 이 소설 제목에 낚였는지 모르겠다. 그 옛날 재미있게 읽은 에바 헬러의 <복수한 다음에 인생을 즐기자>와 같은 인상을 가졌는지도 모르겠다. 시원하고 통쾌한 그 무언가가 있을 거라고 기대했었던 것 같다. 그냥 제목만 쎈, 심심한 이야기로 읽혔다. 나에게는 다소 고리타분했다. 이 책은, 내가 만약 앞으로 다시 소설을 읽는다면 고전을 읽어야 하는 당위성을 마음속 깊이 일깨워주었다.(책의 띠지에는 "현실이 답답할 때 필요한 탈출구 같은 소설"이라 했지만, 나는 오히려 책을 읽으면서 답답해했다.)


이야기는 남편의 연락 두절을 회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주인공인 에이미는 남편과 결혼한 지 18년 차 되는 여성이고 슬하에 딸 하나, 아들 하나가 있다. 남편은 3년 전 홍콩으로 출장을 가서 돌아오지 않았다 한다, 아무런 연락 없이... 그런데 남편이 3년 만에 갑자기 눈앞에 나타난 것이다.


이 설정을 받아들인다 손치더라도, 그 이후에 전개되는 주인공의 대처 방식(생각과 행동)에 초반부터 공감이 가지 않았다.


동네 약국에서 3년 만에 마주하게 된 두 사람의 어색한 모습이 그려진다. 공감하는 재미로 소설을 집어 든 나로서는 주인공인 에이미가 남편이 자신을 봤는지 못 봤는지 신경 쓰고(마주치기 꺼려 하는 주인공의 심정은 이해가 가나 굳이 남편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진열대에 웅크리고 있기까지 한건 읽으면서도 캐릭터가 왜 이렇게까지 그런지 이해되지 않았다), 남편의 머리끄덩이를 잡고 동네 한 바퀴를 돌려도 시원찮을 판에 그 와중에 동네 사람들의 눈을 의식하며 남편에게 큰 소리 내며 화를 낼까 자신의 모습을 신경 쓴다.


아이들에게만큼은 좋은 아빠로 기억하게 해주고 싶었는지 3년간의 공백을 "아빠에게는 어쩔 수 없는 일"로 이해시키는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남편에게 받은 상처를 결국 다른 남자의 사랑으로 메꾸면서 끝맺는 이야기는 왜 도대체 '남편이 떠나면 고맙다고 말해야 하는지' 원제(The Overdue Life of Amy Byler)의 뉘앙스와는 많이 동떨어진 제목에 의구심을 갖게 했다. 나에게는 스토리가 지루했고, 다소 우유부단하고 주체성이 결여된듯한 주인공 캐릭터가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