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멋진 휴식 - 32인의 창의성 대가에게 배우는 10가지 워라밸의 지혜
존 피치.맥스 프렌젤 지음, 마리야 스즈키 그림, 손현선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

[이토록 멋진 휴식]

- 우리가 으레 생각하는 휴식, 그 본질에 대하여 -

우리가 휴식을 생각할 때 그것이 '쉼'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으레 '일하지 않는 시간', '게으름을 부려도 되는 시간', '여유로운 삶' 정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적어도 나에게 '휴식'이란 그야말로 '게을러도 되는 시간, 나태해도 되는 시간'으로 여겨진다.

[이토록 멋진 휴식]은 '휴식'에 대한 다른 말을 한다. 즉, 휴식의 본질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이 책의 원제는 바로 [TIME OFF]인데,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에 앞서 책의 제목이기도 한 Time off라는 단어의 개념 정의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저자가 밝히는 타임오프란 "본질적으로 자신의 시간을 의식하는 것"이다(p.20) 자신의 시간을 '의식'한다는 것은 자신의 시간을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행동으로 이어진다. 그러한 시간 사용은 곧 삶에 분명한 경계를 세우는 일이기도 하다.

이 책의 목적은 책을 집어 든 독자로 하여금 저 스스로에게 맞는 타임 오프 원리를 발견하게 하는 것이다. 저자는 '휴식'과 함께 더불어 논의될 수 있는 다양한 키워드(시간, 창의성, 쉼, 잠, 운동, 고독, 성찰, 놀이, 여행, 테크놀로지, 일의 미래) 안에서 여러 가지 주장을 이끌어가며 그 주장을 뒷받침하는 '32인의 워라밸(Work-Life Balance) 대가'를 소개한다. 그중에는 아리스토텔레스, 러셀, 베토벤, 차이콥스키, 키에르케고르, 우디 앨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스토아학파, 세스 고딘, 곤도 마리에, 성 토마스 아퀴나스, 헤르만 헤세도 있다.

휴식과 관련하여 우리가 그것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은 바로 '일과 시간'이라는 개념일 것이다. 우리는 언젠가부터 바쁘고 분주한, 일이 많고 그것을 열심히 해내는 삶을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삶의 모습으로 간주해온듯하다. 90년대만 해도 무급의 야근은 당연한 것이었고, 정시 퇴근은 '성실하지 않은, 비열하고 이기적인' 행위로 바라보던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지 않았나 싶다. 그러한 고달픈 생활 속에서 얻어지는 분주함, 스트레스, 과로는 '내가 바람직하게 열심히 잘 살고 있구나'를 느끼게 하는 일종의 훈장 같은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일이 적으면 휴식시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일이 많으면 휴식시간을 적게 가질 수밖에 없다. 많은 일을 수월하게 하면 일의 시간을 줄이고, 휴식을 충분히 취할 수 있다. '일과 시간' 개념과 관련해서 이런 내용이 눈에 띈다.

적게 일하고도 양질의 결과물을 내다

이 부분과 관련하여 소개되는 인물? 인물이라고 하기엔 좀 그렇고 소개되는 신은 그리스 신, 카이로스와 크로노스이다. 크로노스는 측정된 시간을 상징하고, 카이로스는 몰입된 상태의 시간을 의미한다. 크로노스는 '시간의 양'을 보지만, 카이로스는 '시간의 질'을 본다.

저자는 이 둘의 개념을 저울질해 어느 하나가 더 낫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어느 것에 주목해야 할지 알면 현재의 일상에 더 충실하고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얘기다. 과하게 계획을 세우고 시계에 나타난 시간에 집착하다 보면 무언가를 위한 타이밍을 놓칠 수 있다. 업무가 넘치고 과로에 시달리고 있다고 느낀다면, 당신은 지금 크로노스에 집착하고 있을 공산이 크다. 이럴 때는 카이로스 관점을 보강하는 게 도움이 된다.

p.40

창의성과 타임 오프가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베토벤과 차이콥스키의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산책을 하루의 일과로 정해놓고 정해진 시간에 매일 산책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쉬는 시간으로도 여겨지는 산책은 쉼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에너지를 충전하고 창의성을 키워나가는 시간이기도 한 것이다. 이렇듯 타임 오프를 통한 휴식은 일의 효율성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국의 수면과학자 매튜 워커는 잠과 게으름을 동일시하는 행태에 대해 비판을 가한다. "우리는 바쁘게 일하고 있음을 얼마나 적게 자는지로 표현한다, 수면 부족이 영예 훈장이 되었다"(p.123) 충분한 휴식은 양질의 좋은 수면을 통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우리의 하루에 있어 잠은 다른 업무나 남에게 부지런함을 자랑하기 위해 줄여야 하는 루틴이 아닌, 심신을 치유하고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며 창의적 돌파구를 제공하는 필수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최고의 타임 오프인 것이다.

저자가 타임 오프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그 배경에 대해 좀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타임 오프와 관련하여 시간, 창의성, 쉼, 잠, 운동, 고독, 성찰, 놀이, 여행에 대한 논의는 원론적으로 들릴 수 있다. 타임 오프는 자신의 시간을 의식하고 시간을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고 이것을 통해 마련한 휴식은 창의성, 생산성과 연결되고 휴식에 운동의 영역이 있으면 이것 또한 기분, 건강, 생산성을 올리는 지렛대 역할을 한다. 군중 속의 번잡함이 아닌 홀로 시간을 보낼때 느끼는 고독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게 하고 삶에 영감을 가져다줄 수 있다. 성찰, 놀이, 여행 모두 다 우리의 삶을 질적으로 윤택하게 하는 것들이다. 그런데 이런 것들을 바탕으로 한 타임 오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AI 시대라고 불리는 오늘날의 시대적 특성 때문일 것이다. 다소 원론적으로 들리는 타임 오프에 대한 논의는 책의 마지막 두 챕터, '테크놀로지와 일의 미래'(10장과 11장)라는 부분에서 더욱 중요하게 들린다. 나와 디지털 기계의 연결이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시대, 더 이상 정보가 귀하지 않은 시대에 우리의 모습은 어떤가. 핸드폰을 손에서 놓지 못하고 자신의 전화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잘 기억할리 없는, 주의력과 기억력이 결핍된 모습으로 살고 있다. 타임 오프의 중요성은 디지털 탈 연결, 즉 디지털 미니멀리즘과 그 맥을 같이한다고도 할 수 있다.

저서 [디지털 미니멀리즘]에서 뉴포트는 이렇게 촉구한다.

"온라인에서 시간을 보낼 때 당신이 소중하게 여기는 것들에 도움이 되며, 신중하게 선택한 소수의 최적화된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모든 활동은 기쁜 마음으로 내려놓으라." 타임 오프와 마찬가지로 관건은 우리의 시간과 주의력을 어떻게 쓸지 자각하는 것이다. 모든 새로운 도구나 기술을 신중히 평가하여 그것이 우리에게 상당한 가치를 보탤 때에만 (그 가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결정하는 주체는 우리다) 도입해야 한다.

p.281

생산성으로 따지면 인간은 기계, AI를 절대 넘어설 수 없다. 회사 창립자이자 CEO인 스테판 아르스톨은 일찍이 하루 5시간 근무제가 인간 노동시간의 최적이라고 보았고, 이를 회사에 도입했다. 오래 일할수록 생산성은 낮아진다는 사회적 통찰은 곳곳에서 직장문화의 변화로 드러나고 있는듯하다. AI와 경쟁해야 하는 시대이거나 혹은 AI와 동반성장해야 하는 시대이거나 우리 '인간'은 그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인간이 지닌 유일한 능력인 창의성, 공감, 큐레이팅은 AI가 넘을 수없는 영역이다. 이러한 능력과 재능을 키우는 데 있어 필요한 휴식을 적절히 안배할 줄 아는 타임 오프는 우리 시대의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저자는 다름 아닌 이 시대 안의 '우리'를 보았기에 이 책을 통해 더욱 더 '타임 오프'를 강조하고 있지 않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