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나침반 역사 속의 위인들 - 외교관의 눈으로 보고 역사학도의 발로 쓴 역사, 리더십 지침서
이강국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

[역사 속의 위인들]

- 광화문광장에서 세종대왕의 정신을 기리며 -

[대한민국 나침반 역사 속의 위인들]이라는 책은 총 8명의 위인을 다루고 있다. 최치원, 서희, 김윤후, 세종대왕, 이순신, 정약용, 백범 김구, 이승만. 다들 위대하신 분들이지만 그중에서도 개인적으로 가장 존경하는 인물인 '세종대왕'에 대한 감상을 남겨볼까 한다.

1990년대 그러니까 옛날에는 무엇을 가지고 초중고 교과서를 제작했는지 모르겠다. 정확히 언제 배웠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이렇게 배운 기억은 또렷하다. "세종대왕은 집현전에 지시를 내려 집현전의 학자들로 하여금 한글을 만들게 했다", 뭐 이런 식의 내용으로 한글 창제의 기원을 배웠었다. 이 책 [역사 속의 위인들]이란 책을 읽기까지만 해도 나는 한글은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알고 있었다.

그런데 내용을 읽으면서도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한글은 협업이 아닌, 바로 세종대왕 혼자서 비밀리에 만들었다는 것이다. '혼자' 만들었다는 부분을 읽는 순간 나도 모르게 감탄을 연발했다. 이 책의 내용을 근거로 한다면 내가 학교 다닐 때 배운 한글에 대한 내용은 잘못된 것인 셈이다. 오늘의 독서를 통해 이를 바로잡게 되었다.

이 글에서 '훈민정음'과 '한글'의 차이를 잠깐 바로잡고 가려고 한다. 세종대왕이 오늘날의 한글을 처음 반포한 것은 그 이름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 한다. 그것을 가리키기도 하는, 오늘날 이름 '한글'은 조선시대를 지나 1914년, 국어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주시경 선생이 한문 이름인 훈민정음을 '하나이자 크고 바른 글'이라는 뜻으로, 우리글로 된 이름 '한글'이라 지은 것이다.

'훈민정음'이 협업의 결과물이냐 아니냐에 대한,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참으로 흥미로웠다. 저자는 훈민정음이 협업 일수 없는 이유를 4가지를 들어 밝히고 있는데 그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1443년 12월 30일 <세종실록>에 "이달에 상감마마께서 친히 언문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셨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

둘째, 집현전을 약 20년 동안 지키고 있었던, 세종 집권 당시에는 집현전의 수장이었던 최만리가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훈민정음에 대한 '반대 상소'를 올린 것.

셋째, 세종대왕이 쓴 <훈민정음해례본>의 서문에 해당하는 '예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는 사실.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하여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었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내가 이것을 가엾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쉽게 익혀서 날마다 쓰는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p.167 (재인용)

이 부분을 읽으면서 눈시울이 붉어지며 울컥했다. 사실 엄밀히 말해 세종은 지배계층의 최고봉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자리에 올라 있으면 대개 권력을 쥐고 있어도 더한 권력을 탐내거나 사리에 어두워지거나 자신의 안위만 힘쓰거나 여색에 빠지는 등 안일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대부분인데, 역대 왕들 가운데 특히나 세종대왕이 나에게 귀감이 되는 것은 그의 '끊임없는 탐구정신'때문이다.

한글 창제자 세종은 지금의 시각으로 보아도 최고의 학자였다. 학문 차원에서 보더라도 언어학뿐만 아니라 음악학, 천문학 등 새로운 문자 설계에 필요한 학문분야에 정통한 인문학자이자 과학자였고, 디자인과 음악에 정통한 예술가였다.

p.168

한글 창제가 협업일 수 없는 그 마지막 이유는 신숙주의 문집인 <보한재집> 기록에 있다. 거기에는 "상감마마께서 (...) 오직 우리나라만이 제 글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여 언문 자모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셨다"라고 되어있다.

'훈민정음'이 반포되고 나서 모든 백성이 한글을 자유로이 사용하기까지 참으로 많은 시간이 걸렸다. 특권계층으로서 한자를 고집하던 사대부들의 저항도 있었고, 명나라의 눈치를 봐야 하는 그 당시 분위기도 있었다. 그러나 백성들이 저마다 글자를 알게 해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하고, 자신의 생각과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며, 제 언어로서 나라의 정체성을 지켜내려 했던 '세종의 오랜 꿈'은 마침내 실현되었다.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 그 마음 하나에서 시작된 이 '비밀 프로젝트'는 다시 말해 세종의 애민정신이 없었다면 결코 탄생하지 못했을 우리의 자랑스러운 유산인 것이다.

그 유산을 지금도 실감한다. 빠른 검색과 빠른 타이핑(중국어와 일본어를 배워보고 이를 타이핑해 본 사람이라면 한글의 우수성에 대해 이미 실감해봤을 것이다.) 우리나라 말로 내가 말하고 싶은 바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문자의 자유, 이쁜 글과 말소리... 세종대왕의 크나큰 사랑에 고개가 절로 숙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