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일으키는 글쓰기 - 인생 중반, 나에게 주는 작은 선물
이상원 지음 / 갈매나무 / 2021년 5월
평점 :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
[나를 일으키는 글쓰기]
- 백지 위에 점하나 떼기 힘든 당신에게 -
책이라는 대상을 놓고 글 작업을 하는 서평과는 별개로 오로지 '글쓰기'라는 행위 자체만 놓고 가만히 생각해 본다. 나는 이걸 '근원적인 글쓰기'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글쓰기를 언제부터 어떠한 연유로 시작했을까.
[나를 일으키는 글쓰기]는 서평과 같은 한 꺼풀 겹쳐진 글쓰기가 아닌 순수하게 '글을 쓰는 행위'와 '나'를 마주하게 하는 책이다. 서평은 대상이 의뢰받은 특정한 책이지만, 순수한 글쓰기의 대상은 곧 '나'다. 나를 글감으로 해서 글을 시작하고 끝내는 것이다. 이런 사유, 이런 글쓰기, 이런 시간에 대해서 익숙하다면 이 책을 권하기에 조금 부족하다. 이 책은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이 적어 '나'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 글을 어떻게 써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가이드북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글쓰기든 그 첫 번째는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 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자신을 대상으로 해서 쓰는 글은 당연한 것이고, 서평 글쓰기를 할 때에도 책을 마주하고 한 문장 한 문장 읽어나갈 때, 문자와 문맥에서 전해지는 메시지에 대한 느낌과 그 울림이 일어나는 마음의 상태에 잘 귀 기울여야 나만의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마음에 일어나는 어떤 변화되는 상태에 대해서 귀를 잘 기울인다는 것은 글과 나만 존재하는 순수한 시간이자, 내가 정직해야 하는 시간이다.
[나를 일으키는 글쓰기]는 글쓰기 '시작'을 연습하는 훈련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나'를 대상으로 글을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저자는 '나'에 대한 글감을 크게 5가지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1. 내 일상을 보살피다
2. 내 마음을 이해하다
3. 내 실패를 위로하다
4. 내 과거를 발견하다
5. 내 내일을 기획하다
이 책을 순서대로 읽고 쓸 필요는 없고, 목차를 펼쳐보고 마음이 동하는 대로 그 페이지를 펴고 글을 쓰면 된다. 나는 페이지를 휘리릭 넘겨보다 저자가 제시해 준 다음의 글감이 마음에 들어서 조용히 나와 마주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책의 테스터로서 떠오르는 문장을 적어본 것이니 이 글을 읽는 분들은 날것 그대로의 '나'를 이해해 주면 좋겠다.

글쓰기의 전제조건은 자유라 생각한다. 물론 형식을 요구하는 글쓰기도 있지만, 내가 펜을 들고, 타자를 치는 순간에는 시간에 쫓기지 않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아야 우선 '글'이라는 것을 시작할 수 있다. 저자가 일러주는 글쓰기 팁으로 책의 글감을 하나하나 천천히 채워가다 보면 이 한 권을 끝냈을 때 어느덧 글쓰기에 더 이상 두려워하지 않는 자신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에서 말문이 트이는 것처럼, 글쓰기에서 글문이 트이고 싶다면 나른한 일요일 오후쯤 휴대폰을 잠시 꺼두고, 커피 한 잔을 곁에 두고 이 책과 함께 '나'만의 조용한 시간을 갖길 권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