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으로부터 사람을 구원하는 것은 겉발림으로 하는 다정한 말이 아니다. 비극의 본질에 상응하는 깊이를 지닌 언어뿐이다. 그것을 나는 지금도 찾고 있다.
- 헨미 요
투쟁 따위는 없었다. 국회에서는 법안에 다소 비판적인 질의가 있었으나 별다른 일 없이 전원일치로 채택됐다. 국가총동원법은 강압적으로 강요된 것만은 아니었다. 그 되는 대로 내맡기기와 몰주체성에 대해 죽기 전 한 번은 따져보고 싶다는 생각을 나는 하고 있었다 - P13
1937년의 중국에서 ‘황군‘ 병사인 너는 군도를 빼어들고 사람을 베어 죽이려는 충동을 멈춘 채 제정신을 차리고 그 충동을 광기로 대상화함으로써 스스로 멈출 수 있었을까 - P30
히토바시라(사람기둥), 히토바시라는 다리나 제방, 성 등을 쌓을 때 공사의 성공을 기원하며 신들의 마음을 달래기 위해 희생물로 사람들을 물 밑바닥이나 땅속에 생매장하는 것을 말한다. - P48
아버지는 가끔 중병에 걸린 개와 같은 눈을 하고 있었다. 눈을 부릅뜬 채 옆으로 쓰러져 하수구를 떠내려가는 죽은 짐승같은 얼굴. 그런 눈은 전쟁의 시간을 살아가야 했던 인간으로서 어쩐지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라는 생각도 들어 무서웠으나 반드시 싫지는 않았다. 이 사람은 도대체 무슨 짓을 하고 온 것인가. 무엇을 보고 온 것인가. 그런 의문들에 대해 결국 질문을 던지지 못했던 내게도, 그것을 불문에 붙임으로써 상처를 피하려는 교활한 의도가 어딘가에 있었던 것이고, 끝내 말하지 않았던 아버지와 끝내 직접 물어보지 않았던 나는 아마도 같은 죄를 지은 것이리라. 묻지 않은 것-말하지 않은 것. 많은 경우 거기에서 전후 정신의 괴이쩍은 균형이 유지되고 있었다. - P181
병원에서 돌아오는 길에 어떤 말이 문득 튀어나왔다. "아, 모든 것이 적의 악, 전쟁의 악 때문이라고 잘라 말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땅거미가 지는 가운데 심호흡을 하면서 그 말을 더듬거렸다. 그 말의 밑바탕에 봐서는 안 될, 알아서는 안 될 광경이 펼쳐져 있다는 것을 그 무렵에 나는 알고 있었다. 그것은 누구도 손댈 수 없는 절대적 광경이었다. 나는 잔혹하게도 거기로 아버지를 몰아세워 보기도 했다. - P1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