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3 - 우리 역사를 바꿀 19가지 오해와 진실
이덕일. 김병기 지음 / 김영사 / 2004년 8월
평점 :
"우리역사의 수수께끼3"은 우리역사의 수수께끼 1편과 2편을 읽었기 때문에 읽게 되었다. 전편들에 이어서 3편에서도 우리 역사의 오해 내지 수수께끼들에 대하여 저자 나름대로의 진실 규명 노력을 통하여 사실에 접근하려고 하였으며 그 결과 지금까지의 주류 사학계 내지 우리 일반인들이 알고 있던 사실과는 다른 결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매우 가치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고대사는 대부분 지금까지의 고대 사서의 기록에 주로 의존하여 왔으며, 그나마 대부분이 중화사상에 근거하여 저술된 중국 사서에 근거하여 왔다. 그리고 일본의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식민사관에 의거 우리의 역사는 철저하게 한반도내로 제한되고 그리고 고대사의 기원이 삼국시대 이후로 늦추어 지면서 우리 역사의 시원이 단절되도록 해석되어야만 하였다. 그리고 해방이 된 후에도 현재까지 우리의 역사는 우리 스스로도 제한적으로, 그리고 부정적으로 해석하고 제한하는데 익숙해져 버렸다. 그런데 우리역사의 수수께끼시리즈는 지금까지의 이러한 우리 역사에 관한 편견과 오해 내지는 무지를 파헤치고 우리 역사의 실체를 밝히기 위하여 저자 나름대로의 연구성과를 내 보인 것이라 할 수 있다.
3권에서 인상적인 내용은 고대 일본 벽화에서 발견된 고구려 별자리 벽화와 연개소문의 5개의 비도가 실전용이었다는 것을 밝힌 내용, 백제의 중국 요서지역 지배, 고려장 이야기 등이다.
특히 백제의 중국요서지방 지배에 대하여는 다른 사실과 다르게 중국사서에서 인정하고 기록한 사실인데도 불구하고 우리 역사학계에서는 소극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롭다. 역사의 주체적 인식은 우리 자신의 시각과 입장에서 역사를 바라보고 사실을 파악해 가는 태도인데 이 건에 관하여는 우리 학계가 매우 비주체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 사서의 내용 중에서도 지나치게 중국의 입장에서 사실을 왜곡하는 내용으로 기록된 우리 역사와 관련된 부분을 밝혀내려는 노력도 부족한데서 그치지 않고 중국사서에서 인저아고 있는 사실조차도 우리가 부정하는 태도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여하튼 최근에 젊은 역사학도들에 의하여 기존의 경직된 역사학계의 분위기를 일신하는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주체적인 역사인식의 시도를 이루어 내고 있는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들 중에서 매우 의미있는 결실중의 하나가 우리역사의 수수께끼 시리즈 이다. 한번씩 읽어보기를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