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 수면과 꿈의 과학
매슈 워커 지음, 이한음 옮김 / 사람의집 / 2019년 2월
평점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
서평_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_메슈 워커_사람의 집
미스터리다. 우리 인류가 왜 잠을 자는지 아직까지도 명확한 이유가 밝혀져있지 않은 상태라니. 그러나 지금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가고 있고 하나둘씩 이유가 나오고 있는 현실이긴 하다. 그럼에도 신기하다. 인생의 3분의 1을 잠을 잔다고 하니 어찌 보면 그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도 들고 어떨 땐 잠을 꼭 자야 하는 건가 싶기도 하다. 그런데 잠을 자지 않을 수가 없다. 밤을 새우면 낮에 잠을 자야하고 그것도 억지로 버텨도 결국 자게 된다. 어떤 유튜브 영상에 보면 사람이 잠을 얼마나 안 잘 수 있는지 실험한 것도 있는데 실험을 한 사람은 건강 상태가 심각하게 나빠지며 다시는 이 실험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 그만큼 잠이 중요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매슈 워커 저자는 세계적인 신경 과학자이자 수면 전문가이다. 글로벌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는 수면 부족 현상의 심각성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처방을 내놓으며 자타가 공인하는 <수면 외교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수많은 텔레비전 방송과 라디오 매체에 출현했고 100여 편이 넘는 과학 논문을 발표했다. 지금도 활발하게 대중과 소통하며 연구 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저자의 도발적인 가설이 눈에 띈다. 잠을 자는 상태가 기본이다? 각성제가 잠을 깨는데 좋다는 건 그렇게 만드는 사회가 문제다?
흥미로운 건 어쩌면 인류가 잠을 깨어있는 상태 보다 잠을 자는 상태가 진짜인 게 아닐까?라는 얘기도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놀랐던 점은 우리가 수면을 취하는 건 단순히 피곤함을 해결하기 위해 그러는 것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특히 렘수면 상태에서는 뇌가 신체의 운동 신경을 꺼버린다고 한다. 소위 말하는 가위가 눌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 또한 뇌는 깨어 있지만 몸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를 말하는데 그 이유 또한 뇌가 신체의 운동 기능을 꺼버려서 그랬던 것이다.
창의성은 신경 과학 분야에선 서로 다른 개념들 간의 유사성을 찾아내는 과정이었다. 사람은 낮에 깨어 있는 동안 수많은 정보를 습득한다고 한다. 하루 동안의 정보가 정리되기 위해서는 정리를 할 시간이 필요한데 사물과의 상호 작용들이 그렇다고 한다. 이게 잘 되어야 내가 행동하기 위한 학습을 잘할 수 있다고 한다. 그 과정이 렘수면 상태에서 일어난다고 한다. 이런 이유를 봐도 단순히 잠이란 건 피로 때문이 아니라 깨어 있는 동안 학습된 걸 정리하는 시간을 갖는다고 한다. 그리고 비 렘수면 상태에서는 불필요한 기억의 조각들을 지우는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 그래야 새로운 정보가 들어올 수 있고 중요한 정보는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이걸 정리하자면 불필요한 정보의 배제 및 연결성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수면 시계는 26시간을 주기로 맞추어져 있으며 지구의 자전 주기보다 2시간 정도 더 길다고 한다. 수면이란 건 정말 신기하다.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나서 느낀 건 수면이란 것이 정말 중요하고 잘 자야 건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을 수면으로 고민하고 있는 독자에게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