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존재하지 않는 영화 - 창작의 한계를 넘어선 예술과 기술의 만남
김대식 외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11월
평점 :
서평_존재하지 않는 영화_김대식 외 3명_쌤앤파커스
드디어 올 것이 온 건가. AI를 통해 스토리보드를 만든 책이 나왔다. 말이 그렇지만 한 편의 영화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이 논란이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현재까지도 창작에 있어서 AI를 쓴다는 건 좋지 않다는 견해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말을 꺼내는 건 조심스럽고 중립을 유지하려고 노력 중이다. 실제로 쓰는 경우가 있지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서 모르고 썼다간 낭패를 경우가 많았다. 물론 인공지능 로봇이 수십억 이상의 정보 데이터를 수집해서 제공하는 것이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말의 양심도 없이 틀린 걸 알려준다. 그래서 ‘너 틀린 걸 얘기하고 있어’라고 하면 그저 ‘죄송합니다’라는 대답을 하고 대화를 중단하거나 또 다른 정보 자료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런 면 때문에 아직까지도 완전히 신뢰를 할 수가 없는 현실이었다. 그렇다고 필자가 여기서 말하려는 건 이런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하는 건 아니다. 시대는 이미 바뀌었고 지금 수많은 창작자들이 쓰고 있다. 잘 쓴다면 이만한 비서도 없다는 사람들이 많다.
이 책은 국내 저명한 과학자와 창작자가 협력하여 만든 작품을 ‘존재하지 않는 영화’라는 제목의 책으로 만들어서 독자에게 선보인다.
노란색 배경의 표지 디자인엔 이미 아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인공지능 로봇이 그린 그림이라는 걸 알 수 있다. SNS에서도 흔히 보이는 그림체였기 때문이다. 중요한 건 이렇게 만들어진 게 맞느냐, 틀리느냐,의 논란보다는 어떻게 잘 활용해서 완성을 할 수 있는 건지 이 책을 살펴보는 게 우선인 것 같다. 그렇게 접근하면 흥미로운 점이 많았다. 최초 시나리오 작가가 쓴 스토리 글과 거기에 나오는 등장인물을 챗 GPT라는 인공지능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바꿔보는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그렇게 시도한 뒤 각 인물을 인터뷰하는 글도 만들고 다양한 직업을 가진 주인공의 시점에서 스토리보드를 만들어서 보여준다. 그림체가 바뀌기도 하고 제작 에피소드에 관한 장면도 있었다. 이 책은 뇌과학자 김대식, 영화감독 김태용, 안무가 김혜연, 작가 임다슬이 공동으로 만들었으며 AI를 사용해 보고 난 후기를 마지막에 수록했다. 내용은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활용에 관한 이야기였다. 이 책이 창작자들에게 새로운 창작의 시발점이 될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앞으로의 가능성은 충분히 긍정적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