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 최첨단 과학이 제시하는 '사후 세계'의 가능성
다사카 히로시 지음, 김윤영 옮김 / ㈜소미미디어 / 2024년 2월
평점 :



서평_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_다사카 히로시_소미미디어
죽음은 항상 인생과 맞닿아 있는 것 같다. 생각하면 한편으론 두렵고 더 나아가 무서운 게 죽음이었다. 하루에도 뉴스를 보면 살인 사건을 비롯해 죽음 이야기는 흔히 접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은 게 인간의 마음이었다.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죽음 이후, 우리는 어떻게 되는가? 인류 수천 년의 수수께끼, 그 답을 찾아서
-인생이 바뀌는 한 권의 책. 일본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
-최첨단 양자물리학이 제시하는 새로운 가설
정말 흥미로운 책이었다. 제목부터가 ‘죽음은 존재하지 않는다’여서 더 호기심이 생겼다. 표지는 검은색 배경에 하늘색 글씨로 꾸며져 있었다. 책의 첫 부분을 읽으면서 죽음에 관심 있는 모든 이가 의문을 가졌던 사항이 적혀있어서 놀랐다. 일반인은 물론 전공생이나 현직 과학자와 종교인들도 죽음은 보편적인 운명이었다. 하지만 과학이나 종교가 받아들이는 개념에서의 차이가 있었다. 과학은 물리학적으로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해석되어야 하지만 종교는 인간에 대해 윤회사상이 존재하며 사후 세계도 있다는 게 보편적이었다. 하지만 저자는 조금 더 다른 차이점을 둔다. 박사셨지만 과학과는 다르게 초자연적이며 미스터리한 현상에 대해 부정을 하지 않으셨다. 그리고 과학의 오류에 대해서도 근거를 들며 설명했다. 가장 눈에 들어왔던 내용은 물질 환원주의로 보는 관점은 결국 의문점을 남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물질의 가장 작은 단위라고 하는 원소에서 그보다 더 작아져 간다면 과연 그 끝은 어디인지 아직도 밝혀진 게 없었다. 그 가설 중 하나가 물질의 끝엔 의식이 남는다는 건데 의식이란 건 어찌 보면 손에 잡히지도 않고 보이지 않는 생각이었다. 그러면 물질과 의식의 경계가 없다는 뜻이고 과학도 결국은 불완전한 했다. 과학을 오히려 종교라고 언급했다. 이처럼 흥미로운 주제들로 죽음과 사후 세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는 내용이 신선했다.
‘제로 포인트 필드 가설’ 저자가 제시하는 이 새로운 가설에 대해 앞으로도 관심 있게 지켜볼 생각이다. 죽음에 대해 그저 두려워만 했던 분들에게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