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춤 - 김율도 장편소설
김율도 지음 / 율도국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_바퀴춤_김율도_율도국


소설을 조금이라도 써봤다면 알겠지만 소설은 완전한 허구가 아니다. 주인공 뒤에 작가가 있다. 과학적으로 이야기는 글쓴이의 뇌에서 다 나오기 때문에 새로우면서도 새롭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퀴춤’에서도 작가님을 느꼈다. 장애인에 관한 얘기라고 해서 무조근 불쌍하고 신체적 결함으로인한 시련이 있을 거라는 건 편견이었다. 적어도 이 소설은 작가님이 강조하시던 장애인의 무조건적인 희생을 그린 내용이 아니었다. 주인공 몽도는 당당했고 아름다웠으며 멋있었다.


‘바퀴춤’

-서울문화재단 장애예술인활성화 선정작

-“같이 춤춰 주어서 고마어! 나으 ㅣ부족함을 채워주어서 고마워. 100번 해도 부족해”

-“자꾸 고맙다고 말하지 마. 그냥 우리는 똑같아. 뭐가 고마워. 내가 누구를 위해 추는 것 같아? 나를 위해 추는 거야.”


 사실 말 한마디에도 주의를 기울이는 주제가 있다. 개인적으로 성소수자와 장애인에 대한 것인데 조심스럽다. 그럼에도 이 소설을 읽게 된 이유는 휠체어 댄스에 대해 궁금했기 때문이다. 장애인도 댄서가 되어서 국내는 물론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딸 수 있는 기회가 있다. 특히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하나가 되어 환상적인 장면을 만들어 낸다.

 큰 사고로 후천적 장애를 얻게 된 주인공은 절망적인 마음으로 수면제를 다량 먹어서 자살을 하려고 했다. 하지만 극적으로 살게되고 우연히 접한 휠체어 댄스에 관심을 갖게되면서 전문 댄서가 된다. 옆에서 아들의 인생을 응원하는 철학자인 어머니가 위대해 보였다. 그 장면은 굉장히 슬프고 우울하게 그려질 줄 알았는데 어머니는 의외로 담담했고 용기를 주었다. 때로는 인생 도우미가 되어 아들의가 친구도 된다. 그래서 이 소설은 드라마적 구성과 로맨스가 적절히 조합되었지만 읽으면서 인생의 참된 의미를 깨달을 수 있는 선생님처럼 보였다.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는 청소년이 읽어도 재미있을 것 같다. ‘휠체어 댄스’라는 소재를 바탕으로 소설에서 그치지 않고 좋은 제작자를 만나서 영상화가 되었으면 좋겠다. 드라마나 영화도 좋고 연극으로도 훌륭하게 만들어진다면 더 많은 이에게 감동을 주면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작품으로 탄생하기를 바란다. 그런 마음으로 작가님을 응원한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