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속의 꿈 - 에드거 앨런 포 시집
에드거 앨런 포 지음, 공진호 옮김, 황인찬 해설 / 아티초크 / 2023년 10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18/pimg_756949116408715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18/pimg_756949116408715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18/pimg_7569491164087157.jpg)
서평_꿈속의 꿈_에드거 앨런 포_아티초크
에드거 앨런 포의 '꿈속의 꿈'을 온전하게 이해 할 수 있을까?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 시집은 상업 문학은 아니다. 예술 문학이다. 그래서 상업 문학에 익숙한 독자들은 이런 난해한 시집은 읽기가 힘들 뿐아니라 이해하기도 힘들 것이고, 싫어할 수도 있다. 재미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아름다운 단어들로 구성된 것도 더더욱 아니다. 거기다 심오하고 상징적인 단어들 투성이기에 막상 보면 이 시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하며 당황할 정도 일 것이다. 이 시집은 시종일관 어둡고 우울하다. 더 나아가 염세적이다. 그리고 수시로 튀어 나오는 상징적인 단어와 은유, 직유의 비문들 때문에 화가나서 덮어 버릴 수 있다.
‘에드거 앨런 포’ 시인의 시는 말 그대로 그의 세계와 영역안에서 빛나는 흑색의 예술이었다. 마치 희망과 꿈이 상실 된 세계처럼. 사실 처음엔 그의 인생을 투영되서 그런 줄 알았는데 이 책의 뒷부분에 수록된 해설을 읽어보면 꼭 그렇지도 않았다. 일반적인 시의 형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어떤 수단으로서의 예술적 표현으로 보여졌다. 단순하게 생각하자면 우울과 냉소적인 세계관, 죽음, 상처, 외로움 등 인간의 가장 어두운 일면을 보여주는 감정의 공포 문학이었다. 그저 그 자체로 우리는 그의 시를 이해하면 될 것 같다.
맨날 짜장면만 먹으면 질리니까, 가끔은 짬뽕도 먹어주면 그 다양성을 느낄 수 있으니까, 이 시집도 그런 마음으로 읽으면 될 것 같다. 굳이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필요는 없다. 마음가는 대로 펼쳐서 읽으면 모든 것이 내 내면의 마음과 소통을 하며 그의 시와 버무려져 이해되었다. 사실 그렇게 읽어도 샤를 보들레르의 시를 완전히 알 수는 없었다. 아마도 시 전체 흐름의 맥락을 파악하긴 어렵지만 행 하나 하나를 영상적으로 이해하면 또 다른 의미가 보였던 것 같다. 시를 읽는 재미가 여기 있었다. 역시 정답은 없다. 이 시집에서도 각각의 시에 대한 해석은 수록되지 않았다. 작가의 인생관이 있고 연보만 있을 뿐이다. 나머지는 오롯이 독자의 판단에 맡겼다.
‘아티초크’ 출판사에서 출간 된 이 시집의 매력이라함은 바로 디자인도 꼽고싶다. 이 시집을 이렇게 소장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디자인 자체는 오리지날을 추구하려 한 출판사의 노력이 돋보였던 부분이었다.
나는 '꿈속의 꿈'에 수록 된 해석들을 지금부터 찾아 읽어볼 것이다. 원하면 영상들도 찾아서 ‘에드거 앨런 포’ 시인을 이해하고 싶다. 혼자가 어려우면 자료를 찾는 노력을 해야 수확이 있을 것 같다. 이 시집을 이해하라고 하고 싶은 마음도 없지만 이것을 읽는 나를 이해해달라는 마음도 없다. 그저 취향이고 나는 이 시집을 읽고 싶었을 뿐. 다만 염세적 예술 시의 매력을 느끼고픈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이 글은 네이버 문화충전 200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