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속에 숨은 사이코패스 - 정상의 가면을 쓴 그들의 이야기
이윤호 지음, 박진숙 그림 / 도도(도서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_우리 속에 숨은 사이코패스_이윤호_도도

 사회적으로 뜨겁게 관심받던 연쇄 살인 사건에도 있었으며 반사회적 인격 장애라고도 했다. 범죄인이 그랬다. 아주 냉정하면서 잔인했고 살인에 아무런 죄책감도 느끼지 않았다. 오히려 행복해 하며 더 죽이지 못해 아쉬워하던 존재였다. 모두가 미쳤다고 하지만 당당하게 정당화하던 괴물은 사이코패스였다.

 나름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을 읽고 달라졌다.

제목처럼 단순한 이야기인 줄 알았으나 객관적 정보로 올바르게 알려줬다. 끝부분에 수록된 사이코패시(PCL-R) 체크리스트도 흥미로웠다.

'<우리 속에 숨은 사이코패스> 정상의 가면을 쓴 그들의 이야기. 본능은 살아 있다. 그저 숨을 죽인 채 살고 있을 뿐! 범죄학자 이윤호 교수가 알려주는 어둠의 그늘 속에 숨은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의 모든 것.'

'이 책을 읽고도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를 식별하지 못한다면 여러분이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일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 문장이 소름 돋았다. 한 심리학자는 본인이 사이코패스라는 걸 알았으며 가족 가계도에 살인을 저지른 범죄자가 7명이나 있었다. 그런데도 그가 평범한 이유는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에게 사랑과 관심을 듬뿍 받으며 자라서였다고 했다.

 이 책은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에 대해 비교하면서 그 차이가 어떤지 알려준다. 그리고 범죄자, 역사 인물, 기업인, 정치인 등 다양한 유명인으로 구분할 수 있게 했다. 흥미로운 건 영화에 나오는 악당이 실제로는 사이코패스가 아니었다는 점이다. 물론 비슷하지만 꾸며지거나 과장되었 다고 한다. 특히 <양들의 침묵>에 나오는 한니발 렉터 박사가 그랬다.

이 책이 전문적인 단어 때문에 이해가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생각보다 잘 읽혔다. 재미있게 쓰기도 했고 보기 좋게 도식화 하거나 밑줄 표시도 했다.

 결론은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는 범죄학 단어였으며 의학계에선 반사회적 인격 장애라고 했다. 그리고 현재까지도 연구가 진행 중이며 정확한 원인은 찾지 못했다고 한다. 선천적으로 뇌 이상과 유전적인 가계도를 통해 알 수 있고, 후천적으로는 가정 폭력과 불행한 어린 시절로 인한 가능성이 있다는 정도였다. 충격적인 건 치료가 안 된다고 한다. 그나마 사회적 보호 장치로 행동을 막을 수 있다는 정도였다. 책에는 마주치지 말거나 피하라고 하며 자극해서도 안 된다고 했다. 사실 아직도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지만 사이코패스는 냉정하고 주도면밀한 계획으로 목표한 대상에 다가갔고, 소시오패스는 본인이 세상의 중심이며 자기 뜻대로 되지 않으면 흥분한다는 정도였다. 나머지는 비슷했다. 그래도 뭔가 완전하게 해결되지 않은 채 책이 끝나버렸다. 그들이 지금도 내 가까이에 존재 한다는 게 무섭다.

 이제 사이코패스에 대해 좀 더 확실히 알게 되었으며 사회 속에서 더 현명하게 행동해야겠다. 개인적으로 많은 사람에게 이 책이 읽혔으면 좋겠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