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의 푸른 상흔 ㅣ 프랑수아즈 사강 리커버 개정판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권지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2년 2월
평점 :
서평_마음의 푸른 상흔_프랑수아즈 사강_소담출판사
독특한 소설이었다. 동시에 작가가 소설의 세계에 귀엽게 뛰어드는 시도가 참신했던 것 같다. 사실 읽는 사람마다 이런 부분은 호불호가가 갈릴 수 있겠지만 소설의 재미와 수필의 매력을 동시적으로 만끽할 수 있는 프랑스산 와인 같다고나 할까?
거기에 마치 인생철학이 치즈처럼 사르르 녹아든 것처럼 꽤나 고소함이 있었던 작가 특유의 소설이었다.
'마음의 푸른 상흔'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의 조제가 사랑한 작가 프랑수아즈 사강
정확히는 그 소설을 쓴 작가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영화에서 보이는 조제의 감정이나 시각적인 느낌이 왠지 모르게 작가 프랑수아즈 사강과 비슷하게 보인 다는 것.
결코 밝지는 않지만 여성으로서의 당찬 기운이 있던 모습이 말이다.
이 소설은 작가의 서문에서부터 시작해서 단락이 바뀌며 작가의 수필이 되었다가를 반복한다.
등장하는 인물들에 대해 얘기를 하기도 하고 장소 선택에 대한 고민이나 기쁨을 표현하면서 각 소품들까지도 섬세하게 그려냈다.
이것만 봐도 사강이 이 소설에 대한 애정을 충분히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기 인생철학에 대해서도 매력적인 문장으로 써내는데 필사를 하고 싶을 정도로 좋은 부분이 많았다.
마치 소설과 수필의 종합 선물 세트를 대하는 느낌이었다. 아마 이런 시도가 세계 최초인지는 모르겠으나 소설에 대한 작가의 의도를 바로 알 수 있어서 색다를 재미가 있었다. 이런 시도가 다른 후배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흔.'
상처를 입은 자리에 남은 흔적.
어떻게 보면 흉터라고 해도 맞는 단어지만 어감이 그것보다는 상흔이 시적이면서 더 나아가 문학적인 표현인 듯했다.
마음의 푸른 상흔이 가지는 의미라는 것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진 않지만 소설 속에서 은근히 드러나는 주인공의 감정을 따라가다 보면 상류층을 통해 가난함을 감추며 차지하려는 일종의 지배의식과 도전성을 느낄 수 있었다. 아름다움 자체보다는 처절한 상흔.
이 감성적 소설을 독자에게 추천하고 싶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했습니다.-